“저출산, 여기자만의 문제 아닌 언론 전체 고민으로 확산 필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저출산 문제가 여기자만의 문제가 아닌 언론계 전체의 고민으로 확산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지난해 10월 한국일보에 입사한 김혜영 기자는 “한국일보 신년기획인 ‘워킹맘을 부탁해’ 등을 통해 내부적으로 고민했던 문제였는데 이번 세미나에서 다른 언론사 여기자들과 함께 고민을 나눌 수 있어 참 좋았다”며 “육아·가사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와 언론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마음가짐을 다시 할 수 있는 자리였다”고…
65세 노장(老將) 현장을 뛴다
지난 8일 YTN 강릉지국장인 정현교 기자는 폭설이 내리는 영동 산간지역에서 홀로 생방송을 했다. 그의 나이 65세, 1974년 KBS에서 기자생활을 시작해 1995년 YTN 창립멤버로 입사, 2004년 정년퇴임한 후 현재까지 강릉지국장을 맡고 있다. 그러면서 현장도 뛰고 있는 것이다. 36년간을 기자로 살고 있는 셈이다. YTN의 한 기자는 “내가 저 나이에도 중계차를 탈 수 있을까 생각하면 자신이 없다”며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현장에 계셨다는 것만으로도 배울 점이 많다”고 말했다.정
“욕설 유감…한국인 어두운 이슈 두려워해”
지난 8일 기획재정부 외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여성의 사회 참여율이 저조한 것은 룸살롱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을 해 논란의 중심에 선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서울 특파원 에반 람스타드 기자. 그는 12일 본보와의 전화통화와 서면 인터뷰에서 욕설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지만 “한국은 어두운 이슈를 말하는 걸 두려워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터뷰에는 응했지만, 사진게재는 거부했다. 다음은 그와 나눈 일문일답이다.-룸살롱 질문을 한 이유가 있나.지난주 워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는 한국의 성불평등에
미지의 땅 남극대륙을 밟다
지난 1월12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리틀턴 항. 비릿한 바다 냄새가 코끝을 스칠 때 쯤, 빨간색의 아라온 호가 시야에 들어왔다. ‘보물섬을 찾아 떠나던 소년 짐도 이런 심정이었을까.’ 아라온 호에 오르며 콩닥거리는 가슴을 진정시킬 수 없었다. 4년 전, 취재차 만난 극지연구소 운석탐험대장 이종익 박사가 남극 대륙에서 운석 탐사를 한다고 하자 무작정 데려가 달라며 치기를 부렸던 그였다. “이 박사가 운석 탐사를 다녀온 뒤 선물로 준 열쇠고리를 3년간 갖고 다녔어요. 남극에 가고 싶다는 열망 때문이었
“기업가 정신·고객 마인드…기자들이 고민해야 할 화두”
국내 현역 기자 중 기업 CEO를 가장 많이 인터뷰했다는 이필재 중앙일보시사미디어 포브스코리아 경영전문기자는 경제·경영 분야 외길을 걸은 지 올해로 19년째다. 최근에는 이코노미스트에 연재했던 ‘한국의 브랜드 CEO’를 보완해 16명 CEO의 인터뷰집인 ‘CEO 브랜딩’을 연달아 내놨다. 그는 왜 그렇게 CEO라는 키워드에 집중하게 됐을까. “CEO들은 ‘열정적인 독종들’이죠.” 내로라 하는 CEO들을 인터뷰하면서 그들의 내공은 단순한
“바른 우리말 사용하는 것도 기자의 의무”
‘뉴스 좀 똑바로 하세요’ 후배 충고 계기방송원고 잘못된 표현 찾아 틈틈이 정리KBS 최정근 기자가 ‘형! 뉴스 좀 똑바로 하세요-방송기사 바로 쓰기’(나남)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 기자들이 방송기사를 쓰면서 쉽게 틀리거나 잘못 쓰는 표현 85가지에 대한 올바른 쓰기 방법이 예문과 함께 소개돼 있다. 한 후배의 충고가 이 책을 낸 원동력이 됐다. “알고 지내는 한 후배가 ‘정근이 형! 뉴스 좀 똑바로 하세요’라고 하더군요. 잘못된 기사 문장이 많다는 원망이었
“G20 회의 성공이 글로벌 리더로 가는 길”
24시간 뉴스전문채널 CNN의 마이크를 쥐고 전 세계에 한반도의 뉴스를 타전하던 손지애 전 CNN 서울 지국장. 지난달부터 그는 사람들에게 새 명함을 건넨다. 우리는 그를 이제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대변인’이라고 부른다.서울 삼청동 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손지애 대변인은 여전히 바빴다. “일부러 다이어트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24일에는 사공일 준비위원장과 외신기자클럽 회원들의 간담회가 열린다. G20 준비위와 기자들의 공식적인 첫 만남이다. 27, 28일 인천에서 열리는…
“기자회가 해야 할 일 피하지 않겠다”
“회사 안팎의 사태가 엄중하다. 선후배들이 서로 믿고 단합했으면 한다.”MBC 기자회 새 회장에 성장경 차장이 선출됐다. 성 차장은 1995년 MBC에 입사한 뒤 정치부, 국제부, 문화부, 보도제작국 ‘뉴스후’ 등을 거쳐 현재 사회2부에서 사건 데스크를 맡고 있다. 지난 17일 오후 MBC 보도국에서 만난 성 차장은 신뢰를 강조했다. 성 회장은 “격렬한 갈등을 빚더라도 선후배간 신뢰는 깨뜨리지 말아야 한다”며 “자유롭게 소통하고 서로 믿어주는 보도국이 됐으면
“독자 관점의 친절한 신문 만들겠다”
“우리 신문이 지역·석간신문 중 최대 신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언론시장이 어렵지만 지역신문으로서 선두주자라는 위상을 지켜가고 싶습니다.” 이달 초 부산일보 새 편집국장에 취임한 안병길 국장의 각오는 남달랐다.안 국장이 취임하면서 내건 슬로건은 ‘재미있는 신문, 친절한 신문’이다. “지난해 말 선거과정에서 정책을 홍보하는 기사가 많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독자가 원하는 뉴스는 이런 게 아니라는 자성이 후배 기자들 사이에서 나왔다.”취임 직전까지 일
“방문진 폭거, 무모한 도박될 것”
이근행 MBC 노조위원장은 9일 “공영방송 MBC를 손안에 움켜쥐려는 방문진의 폭거는 무모한 도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방문진의 이사 선임 강행은 MBC를 통제 아래 두면서 정권 홍보 방송으로 만들겠다는 정략에서 나온 것”이라며 “MBC 구성원들과 시민사회단체, 양심적 국민들의 대대적인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엄기영 사장이 결국 사퇴했다. 정치권력에 의해 공영방송의 독립성이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엄기영 사장은 저항했어야 한다. 주총 소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