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일간지들, 1면 기사·사설로 "대통령 탄핵 논의 불가피"
4일 조간신문 일제히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1면서 다뤄
경향·서울·한겨레 호외 발행... 세계, 계엄사 포고령 박스로 실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5시간59분 만에 해제된 가운데 4일 종합일간지들은 1면 기사와 사설을 통해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윤 대통령이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고, 중앙일보도 “설마 하던 대통령 탄핵 논의가 불가피해졌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과 서울신문, 한겨레신문은 호외까지 내며 “윤 대통령이 정상적인 판단력을 상실하고 시대착오적 행동을 한 데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등 8개 종합일간지는 일제히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국회의 해제 결의를 1면 기사로 다뤘다. 서울신문만 서울 지역에 배달되는 20판 기준 1면에는 기사를 넣지 못하고 따로 호외(21판)를 발행했다. 세계일보는 계엄사령부의 포고령 제1호를 별도 박스 형태로 1면에 배치했고, 국민일보와 한겨레는 분노한 시민들이 계엄군에 항의하며 국회를 지킨 모습을 비중 있게 1면에 실었다.
국민일보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하자 분노한 시민 1000여명이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으로 집결해 4일 새벽까지 국회를 지켰다”며 “국회 진입을 시도하던 계엄군에게 ‘어떻게 쌓아올린 민주주의인데 이러느냐’, ‘역사의 죄인이 되고 싶느냐’고 외쳤다.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가 가결되자 일제히 환호했고, 일부는 국회를 바라보며 애국가를 부르기도 했다”고 전했다.
늦은 밤과 새벽 사이 비상계엄 사태가 벌어졌지만 종합일간지들은 이날 신문에 재빠르게 관련 사설을 실으며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신문을 제외하고 모든 종합일간지가 사설을 썼고, 한겨레는 특별히 1면에 사설을 배치하며 “윤 대통령의 계엄령은 국민에 대한 반역”이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비상계엄이 무위로 돌아갈 상황이 뻔히 예견됐는데도 계엄령을 선포한 이유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40여년간 대한민국이 일궈온 민주주의의 시간표를 되돌리는 퇴행”이라고 비판했다. 세계일보도 “과연 현 시국이 국가비상사태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며 “윤 대통령의 느닷없는 계엄령으로 한국의 민주주의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 역시 “윤 대통령은 이제 대통령의 자격을 상실했다”며 “대한민국의 주인은 오직 국민”이라고 강조했다.
종합일간지들은 사설에서 비상계엄의 명분도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윤 대통령은 ‘종북세력 척결과 자유헌정질서 수호’를 비상계엄의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우리는 이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며 “우리 사회에 종북 세력이 있을지언정 헌정질서가 허물어질 상황은 아니고, 반국가 세력이 있을지언정 자유대한민국이 그 정도에 무너지지 않는다. 야당의 행태가 결코 정상적이지 않지만, 대통령이라면 정치로 풀어낼 수 있어야 한다”면서 윤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한국일보도 “윤 대통령은 ‘북한 공산세력의 위협’, ‘국민의 자유와 행복을 약탈하고 있는 종북 반국가 세력 척결’을 강조했으나, 철 지난 색깔론에 근거한 비상계엄에 공감할 수 있는 국민은 없다”면서 이번 비상계엄을 “1987년 민주화 이후 초유의 사태”, “수십 년을 가꿔온 민주주의를 일거에 퇴행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종합일간지들은 윤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앙일보는 “대부분의 참모도 회견 내용을 까맣게 몰랐다고 하니 이런 중대한 결정을 하기 전에 누구와 상의했는지 의문”이라며 “이번 계엄 소동으로 윤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을 맞게 됐다. 설마 하던 대통령 탄핵 논의가 불가피해졌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도 “모든 일에는 합당한 선이 있다”며 “윤 대통령이 심야에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은 도를 심각하게 넘은 조치다. 세계 10위권 민주국가로 국가 망신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윤 대통령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책임을 질 것인지 국민에게 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