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사건이 터지면, ‘겉면’을 보는 것과 ‘내면’을 보는 것,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둘 다 ‘팩트’일 수 있다. 다만, 전자는 진실이 아닐 수 있고, 후자는 진실에 가깝다. 둘 중 언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번 사건이 처음 터졌을 때도 그랬다. 기자생활의 경험으로 알게 된 권력기관의 속성을 비춰볼 때, 청와대 민정 내부에 이상 징후가 있었다. 단순히 행정관 한 명의 개인 일탈이 아니었다. 역대 정권에서 그랬듯, 정부 권력 오남용의 정황이 보였다.
권력 감시는 언론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지만, 권력의 중추인 청와대 취재는 상당히 힘들다. 정보 비대칭과 접근의 한계 탓에 어렵사리 하나씩 하나씩 퍼즐을 맞춰나갔다. 취재를 거부하는 관련자들의 증언 확보부터 고비였다. 거듭된 대인 취재에 이어 물증 확보 등 무엇 하나 쉬운 게 없었다.
검증과 검증을 이어나가며 지난한 노력 끝에 민정수석실 내부에서 여권 비위 의혹을 덮으려 했던 정황, 부실한 검증, 업무 범위 밖인 민간인 정보 수집 등 위법적 정황을 다수 발견해 보도할 수 있었다. 이번 보도로 국회 운영위 소집 등 정치권 공방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지만, 이번 사태는 공방만으로 끝낼 사안이 아니다.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내밀한 실체, 규명되지 않은 의혹에 대한 꾸준한 취재가 필요하다.
이번 보도는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양의 땀을 흘리고, 같은 무게의 고민을 한 김정인 김정윤 이호건 민경호 기자 등 동료들 노력의 결과물이다. 막힐 때마다 방향타를 제시해 준 최선호 부장, 신승이 차장에게도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