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이상호 기자 쫓아낸 MBC
“시사제작국에서 경력기자를 채용하기로 한 것은 좋은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다.” MBC기자협회가 자사의 시사기자 경력 채용을 중단하라고 요구하자 이를 반박하는 MBC 시사제작국장의 말이다. 좋은 기자를 뽑겠다는 데 이견은 없다. 하지만 훌륭한 시사제작물을 만들 수 있는 기자들이 MBC에 넘치는데 왜 그들을 활용할 생각은 안 하는지 모르겠다. 오죽 답답했으면 MBC기자협회가 ‘MBC에 기자가 없는가’라고 했겠나. MBC는 2012년 파업 이후 70여명의 경력기자를 뽑았다고 한다. 경력기자들이 보도국 주요 부서를 채우는 동안
‘여성 혐오’ 부추기는 언론
최근 한 통신사가 독자의 빗발치는 항의 끝에 온라인 기사를 사흘 만에 삭제했다. 제목은 ‘소라넷은 어떻게 17년을 살아남았나’. 개인의 사생활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몰래카메라·리벤지 포르노 유포, 강간 조장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국내 최대 음란사이트 소라넷이 경찰 수사로 서버가 폐쇄된 사안에 대해 이 사이트의 ‘운영자’로 1인칭 시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했다.이 사건에 대한 누리꾼의 뼈아픈 지적들을 그대로 옮겨본다. “연합의 소라넷 기사를 ‘언론의 범죄자 감정 이입의 정점’이라고 생각하는데, 기본적으로 기자들은 피해자의 입장에 서기보
20대 국회에 바란다
차가운 겨울을 보내는 해직언론인들에게 봄이 찾아올 수 있을까.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은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을까. 공영방송은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오직 국민을 위한 언론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현실은 여전히 녹록지 않지만 변화의 바람은 불어오고 있다.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했고, 야당은 승리했다. 꽉 막힌 미디어 시장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을까. 누구는 희망을 갖고, 누구는 패배의 경험에서 섣부른 판단을 경계한다. 그래도 변화할 수 있는 시그널이다. 20대 국회는 실타래처럼 얽힌 언론계의 현안을 직시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적극
세월호 기억하겠다던 약속, 어디로 갔나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꼬박 2년이 된다. ‘세월호 참사’라는 말의 의미에는 세월호라는 이름의 여객선이 침몰하고 탑승객들을 구조하지 못해 295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됐다는 사실관계만이 담겨있지 않다. 그 이후 발생한, 이 사건을 둘러싼 수많은 사회적 갈등과 논란, 상처가 함께 침윤돼 있다. 그래서 본래 슬프고 무거운 의미로 기념되어야 할 ‘세월호 참사’에 깊은 답답함과 나아가 마주하고 싶지 않은 사건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그것은 유가족들과 많은 시민들이 바라는 진상규명의 출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더불
기자 통신자료 수집, 언론자유 침해다
경찰과 검찰, 국정원이 기자들의 통신자료를 멋대로 수집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 훼손은 물론 언론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가 아닐 수 없다. 기자의 통신자료 수집은 취재원 보호를 생명으로 여기는 언론사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행위로 묵과할 수 없는 사건이다.언론노조가 실태조사한 결과를 보면, 기자와 피디 등 언론종사자 97명의 통신자료 194건이 작년 한 해 수사·정보기관에 제공됐다. 언론인 1명당 평균 2건꼴로 개인정보가 털린 셈이다. 실태조사가 시작인 것을 고려하면 현재 드러난 수치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 퀄리티의 문제다
디지털 저널리즘에 적응하는 언론사들이 다양한 신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최근 지역 일간지들이 앞다퉈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은 활자와 지면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도전이다. 최첨단 시각 저널리즘인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선보이는 종합일간지도 늘어나고 있다. 봄을 맞아 움트는 듯한 혁신이 동종 업계에 선의의 경쟁 릴레이의 시발점이 되는 듯하다.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신규 콘텐츠들에서는 공급자 중심적인 한국 언론의 과제를 동시에 발견하게 된다. 디지털 영역확장을 꾀하는 언론사들은 종종 낙관의 오류에 빠지곤 한다. 우리 회사의…
언론자유 침해하는 ‘전략적 봉쇄소송’
권력을 비판하는 기사가 명예훼손 소송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면 기사를 쓰는 기자는 주저하게 된다. 특히 권력기관이나 고위 공직자를 비판하는 기사를 최초 보도한 기자에게 소송을 제기하면 후속 보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최근 정부와 공직자가 비판적인 보도를 한 언론 혹은 기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도 이런 효과를 노린 것이 아닌가 의심이 간다. ‘전략적 봉쇄소송’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소송은 피해를 배상받는 게 목적이 아니라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것이 목적이다. 비판적 보도를 하면 소송에 휘말릴 수 있으니 알아서 조심
총선 여론조사 보도 제대로 해야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는 20대 총선과 관련해 지난 14일까지 총 61건의 여론조사 보도를 심의했다. 이의신청 사례 11건과 선관위 모니터링 50건 등이다. 선관위는 이 가운데 56건을 인용했다. 또 고발 2건을 비롯해 경고 3건, 준수촉구 1건, 과태료 2건 등의 조치내역도 밝혔다.여론조사 심의에서 가장 많이 적발되고 있는 사례는 여론조사시 준수사항 위반으로 모두 30건이다. 이어 공표·보도시 준수사항 위반이 10건으로 뒤를 이었고, 여론조사 왜곡·조작 6건, 공표·보도전 홈페이지 미등록 6건 등이다.과거 선거와 달리 20대
필리버스터가 언론에 던진 질문
“정치에 관심이 많았나요?” “아니요. 이번에 필리버스터를 보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필리버스터 토론에 앞서 준비한 한 의원의 성인용 기저귀 사진이 트위터에서 화제입니다.”첫 번째 문답은 필리버스터 이후 국회 본회의장에 방청하러온 시민과의 대화다. 두 번째 내용은 한 종편이 내보낸 보도다. 필리버스터를 바라보는 시민과 언론의 간극을 보여준 대조적 풍경이다.테러방지법이 국회에 직권상정된 이후 9일 동안 국회에서 진행된 무제한 토론인 필리버스터가 끝났다. 38명의 의원들이 192시간 동안 발언했다. 기록도 많이 남겼지만, 시민들의
공영방송, 왜 언로를 막으려만 드나
양대 공영방송의 내부 감시활동 탄압이 금도를 넘어서고 있다. KBS는 새노조 산하 공정방송추진위원회(이하 공추위)의 간사와 기자협회 공정방송국장에게 각각 감봉 6개월, 견책의 징계를 확정했고 인사위원회 회의장 바깥에서 항의하던 노동조합 간부들을 청원경찰을 동원해 물리적으로 끌어냈다. 노조의 공방위 소집 요구는 무시하고 있다. 심지어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 반발하는 기자들의 기수별 성명서 일부를 강제로 삭제하기까지 했다. KBS는 새노조 등이 ‘공정방송 감시’를 명분으로 취재기자에게 전화를 걸어 보도경위를 파악하고 압력을 넣는 등 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