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정포와 순방, 1.5 트랙의 공통점은?
한반도는 남북 분단과 정전 체제 모순이 동시에 작동하는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외교, 안보 분야에서 민감한 사건이 끊임없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복잡다단한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새로운 용어를 만들거나 기존 용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그런데 기존 용어에 새로운 의미를 부가하는 경우는 혼란을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자주 사용한 용어 중에서도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했던 사례를 지적할 수 있다. 장사정포(長射程砲)는 북한이 휴전선 인근에 배치한 장거리 야포를 지칭한다. 문제는 장사정포가 특정한 종
방미 경제사절단 선정의 ‘옥에 티’
28일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에 참여할 경제인 52명이 발표됐다. 이번 경제사절단 선정 방식은 과거 박근혜 정부 때의 관주도에서 벗어나 경제단체 대표격인 대한상의가 주도하고, 청와대가 최종적으로 스크린(신원조회)을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지난 정부의 경제사절단은 방문국과의 사업연관성도 없으면서 대통령과의 친분 과시용으로 참여하는 몇몇 ‘단골기업들’ 때문에 정작 참여해야 할 기업이 배제되는 등 폐해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문제 기업들이 대부분 배제되고, 기업내용 위주로 참여자가 선정돼 경제계에서는…
시험대에 오른 대한민국 집단역량
자본주의 경제는 태생적으로 민주성을 결핍하고 있다.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를 기반으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추종해서다. 민주주의도 경제적이진 않다. 민주주의가 다수결 원칙에 따라 다수의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민주주의 선거는 1인 1표로 동등하지만, 기업 의결권은 1주 1표로 주식을 많이 소유한 주주가 의사결정을 지배한다. 서로 다른 원리로 돌아가는 정치와 경제 분야의 두 주류적 질서가 긴장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일견 당연해 보인다. 독일 수정주의 이론가인 베른슈타인은 “근대사회에서 민주주의는 불가피하게 모든 자본주의적 성격의 제
“기자들이여, 숫자와 데이터를 이해하라”
‘AP 스타일북’은 AP통신 뿐 아니라 미국 언론들의 기사쓰기 교본으로 통한다. 1953년 첫 발간된 ‘AP 스타일북’엔 맞춤법을 비롯해 기사 쓸 때 참고할 각종 사항들이 빼곡하게 담겨 있다. AP는 매년 스타일북을 업데이트하면서 변화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해엔 “인터넷을 더 이상 대문자로 쓰지 않겠다”고 선언해 관심을 모았다. “인터넷도 전기나 전화기처럼 일반적인 명칭이 됐다”는 게 그 이유였다. 이후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많은 언론들도 ‘인터넷’이란 단어를 소문자로 쓰기 시작했다. 그런데 올해는 더 흥미로운 내용이 추가됐다
SNS의 딜레마
스타들을 둘러싼 논란의 끝엔 축구 감독 퍼거슨이 남겼다는 명언이 따라붙는다. ‘SNS는 인생의 낭비다’. 한 순간 대중들로부터 외면받거나 논란의 중심에 설 수 있게 만드는 ‘한 줄’, ‘사진 한 장의 힘’은 실로 대단해졌다. 공인에겐 너무도 조심스러운 도구가 됐고, 대중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스타는 소속사 차원에서 관리자를 붙여야 할 정도로 정통 미디어 이상의 파워를 갖게 된 지 오래다. 이 같은 사실을 스타들이 모를 리 없다. 그러나 SNS가 결정적 순간 발목을 잡는 사건들 역시 갈수록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올해 칸 영화제에 초
하라리의 묵시록을 읽는 이유
지난 주말 조선일보 Books의 ‘세계의 베스트셀러’ 코너는 핀란드 순서였다. 1위는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 세계적 베스트셀러니 그럴 수도 있겠다 싶지만, 특이한 건 핀란드어 번역서가 아니라 영어본이었다는 점이다. 아직 번역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라지만, 이 역사학자·문명비평가에게 쏟아지는 이례적 열풍의 북유럽적 사례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앞에서 하라리에게 ‘문명비평가’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스스로도 자처하고 있는 바다. 지난 3월 이스라엘 자택에서 가졌던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하라리는 옥스퍼드 출신
문재인 정부 대북 정책 성공을 위한 제언
2017년 5월10일,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 업무를 시작한 이후 나라 안팎의 다양한 불안 상황이 상쾌하게 정상화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성숙한 민주주의를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은 반갑고 감격스런 일이다. 다만 북한이나 미국, 중국, 일본과의 각종 외교 갈등 속에서 발생한 사면초가의 함정이 너무 깊어서 기대감보다는 우려감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지난 20년 가까이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 추진 양상을 관찰해온 기자로서 민족의 과제인 분단 해소와 통일 달성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새 정부 대북
일자리공약 성공을 위한 세가지 조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첫 방문지로 인천공항공사를 선택했다. 대통령은 임기 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0) 시대’ 달성을 약속했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개선은 대선 핵심공약인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의 중심 내용이다. 새정부는 일자리위원회와 청와대 일자리수석도 신설했다. 모두 일자리공약 실천의지를 보여준다. 새정부의 일자리공약은 성공할 수 있을까? 공약이행을 위해서는 정부의 일관된 정책 추진이 필수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몇가지 전제조건이 꼭 필요하다. 첫째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대한 우리사회의 근본적인 인식전환이
칼날 위에 선 새 정권의 법인세 인상
법인세의 기원은 17세기 제국주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기업 활동은 국가 권력의 허가 아래 독점적 사업을 영위하는 특권이었다. 예를 들어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 격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정부 특허를 통해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이에 따른 급부인 ‘허가세’나 ‘특권세’는 현대 법인세의 근거가 됐다. 글로벌 시장에서 완전경쟁 환경에 놓여 있는 현 기업 상황에서 법인세는 애당초 당위성을 갖기 어렵다. 법인이 과세 대상인지 여부는 또 다른 논란거리다. 법인 이윤은 장기적으로 모두 주주들에게 귀속된다. 법인은 자연인이 아니며 사
원로 배우가 대학로 무대에 오르는 이유
글과 말로 생각을 풀어내는 것은 여전히, 앞으로도 매우 어렵고 고통스러운 작업일 것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그 과정이 즐겁고 행복하다고는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문제는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넘어서기에 어려운 ‘벽’이라는 게 존재한다는 것. 학창시절, 글이 좋아 멋도 모르고 작가가 되겠다며 꿈을 간직해오던 나는 지금 카메라 앞에서 글을 말로 풀어야하만 하는 일을 하고 있다. 내용만큼이나 전달력도 중요하기에 생방송이든 녹화든 ‘암기’는 숙명인데, 이 과정이 즐겁지만 또한 두려운 것도 사실이다. 약속된 분량만큼의 멘트가 끝나도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