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보다 스마트폰"…OTT 이용률도 급증

방통위 '2019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TV 시청시간·중요도 모두 하락

방통위 '2019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중 '연도별 필수매체 인식 추이' 그림 갈무리. 스마트폰 보유율이 사상 처음 90%를 돌파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30일 발표한 ‘2019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60대와 70대 이상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 비율이 각각 85.4%, 39.7%로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전체 스마트폰 보유율이 역대 최고인 91.1%를 기록했다. 10~50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98% 이상에 달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매체로서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매체 이용시간을 보면 TV 시청시간이 하루 평균 2시간 42분으로 가장 많았으나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인 반면,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1시간 39분으로 매년 늘고 있다. 매체를 주 5일 이상 이용하는 비율로 본 매체 이용 빈도는 스마트폰(87.3%)이 가장 높았고, TV(75.0%) 이용은 역시 감소하는 추세였다. 종이신문 이용 빈도는 3.1%에 불과했다.

스마트폰의 중요도 역시 TV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응답 비율은 63.0%로 전년(57.2%) 대비 증가하면서 TV(32.3%)와의 격차도 더 커졌다. 특히 10대(87.0%)~40대(71.9%)가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은 압도적이었다. 60대와 70대는 TV를 더 중요한 매체로 인식했지만, 스마트폰을 선택한 비율도 큰 폭으로 늘어나 스마트폰의 영향력이 고령층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도 크게 늘었다. OTT 시청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52.0%로 전년(42.7%) 대비 증가했고, 주 5회 이상 OTT 시청빈도(49.4%)와 주 1회 이상 시청빈도(95.5%) 역시 크게 늘었다. 주로 스마트폰(91.6%)을 이용한 시청이 많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OTT 서비스는 유튜브(47.8%)였고, 페이스북(9.9%), 네이버TV(6.1%), 넷플릭스(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료 서비스 이용 비율 역시 유튜브(8.1%)가 가장 높았고, 넷플릭스(3.4%)와 pooq(2.0%), tving(1.1%) 등이 뒤를 이었다. OTT를 통해 주로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 유형은 오락·연예가 6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드라마(30.7%), 스포츠(22.2%), 뉴스(21.9%), 시사·교양(14.5%)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3945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637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3일부터 8월 9일까지 가구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가구조사 ±2.7%p, 개인조사 ±2.4%p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