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품 판촉 판매부수 증대효과 없어"

강기석 신문유통원장 밝혀


   
 
  ▲ 강기석 원장  
 
신문유통원 강기석 원장은 “인력 확충, 기자 재교육 등 신문지면 향상에 써야 할 돈이 경품 등 판촉비용으로 허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원장은 7일 서울 중구 정동 유통원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문들이 경쟁적으로 판촉에 돈을 쏟아 붓고 있지만 정작 부수증대 효과는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며 이렇게 밝혔다.

강 원장은 신문유통원이 지난 3월31일부터 4월25일까지 중앙일간지 65명과 지방지 13명 등 총 78명의 판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조사를 인용해 “불법 판촉행위는 장기적으로 역효과”라고 말했다.

강 원장은 “경품과 무가지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증폭되고 있는 이유는 신문시장에 서로 믿지 못하는 ‘죄수의 딜레마’가 작동하고 있거나 구독률이 광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맹신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유시장 경제체제에서 신문 판촉 경쟁은 당연히 있어야 하지만, 신문의 질을 토대로 하는 경쟁이어야 한다”면서 “마이너 신문의 경우 유통원에 배달을 맡기고 판촉 요원을 별도로 모집해 광역화된 조직으로 움직일 경우 훨씬 효율적인 판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유통원 조사에서 조선 중앙 동아일보를 취급하는 판매담당자들의 55%가 1부당 5만~10만원의 판촉비용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만원 이상을 쓰는 곳도 10%나 됐다. 마이너 신문은 5만원 이하가 71.1%로 가장 많았으며 5만~10만원도 28.9%를 차지했다. 지방신문은 5만~10만원이 54.5%로 5만원 이하(45.5%)보다 많았다.

또 판촉을 위한 무가지 제공도 기간의 차이(메이저 65%, 마이너 44%, 지방지 46%가 6개월 이상)에도 불구하고 모든 신문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