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지원, 균형발전과 법 취지 조화 이뤄야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이춘발 위원장
차정인 기자 presscha@jounarlist.or.kr | 입력
2005.11.16 10:28:12
|
 |
|
|
|
▲ 이춘발 위원장 |
|
|
새롭게 지역신문발전위원회에 합류해서 위원장에 선임됐다. 당장 어떤 일을 시급하게 해결할 과제로 보고 있나?
△과거 기자협회장을 하면서 지역신문의 상황을 가까이서 본 적이 있다. 지방지의 어려움은 지방 분권화와도 같은 맥락을 보이는데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법은 균형 발전과 법의 취지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 지방 분권도 그랬지만 지역신문 지원법도 지역 주민이나 언론 관계자들에게 홍보가 덜 된 측면이 있는 것 같다. 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지역을 광역권으로 나눠 토론회와 세미나 등을 개최해 보고자 한다.
2005년 지원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잡음이 있었다.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
△양면의 시각이 있다. 중앙에 비해 열악한 지역 언론을 좋은 쪽으로 끌고 가기 위한 엄격한 심사 기준의 적용과 선 지원 후 육성이라는 시각의 차이다. 앞으로도 두 시각은 양립할 것이다. 위원회의 순수성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 위원들이 굉장한 애착을 갖고 임하고 있다. 위원회의 향후 과제는 어떻게 운영상의 묘를 살릴 것인가에 있다. 법 정신에도 충실하면서 지원 육성도 같이 할 수 있는 조화의 문제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지역 균형 발전과 지역 언론 개혁이라는 화두의 대립, 그리고 문화부와의 관계 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문화부의 개입이라는 것은 여론의 오해속에서 비롯됐다. 절대 간섭은 있을 수 없다. 지역 안배라는 표현도 쓰지 않는다. 두부 잘라내듯 잣대를 들이대면서 지역을 고루 분배할 수는 없다. 법의 정신은 중요하다. 다만 법을 집행하는 데 있어 현실과 모순된 점들을 보완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기금이니까 적당히 신청해서 받아가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그것은 국민에 대한 유린행위이자 배신행위다.
위원회 운영 과정의 투명성도 논란이 됐었는데 회의 내용을 공개할 수 없나, 지원 대상의 점검을 할 것인가?
△반드시 비공개 회의가 아니라면 홈페이지를 통해 위원회의 회의나 업무 상황을 요약해 공지하겠다. 위원회가 지원 대상과 항상 가까이 있다는 의미가 필요하다. 또한 워낙 엄격한 잣대가 적용됐기 때문에 큰 오차는 없겠지만 정부의 예산이 들어갔으니 지원 대상의 사후 점검은 반드시 할 것이다. 지역 언론에서 해당 언론이 차지하는 기여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이냐의 문제는 신문이 공산품이 아니기 때문에 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공평하고 공정한 기준을 만들어 적용할 것이다.
2006년도 지원사업과 관련한 향후 일정은 어떻게 되나?
△이달 18일 회의를 통해 심사기준을 확정할 것이다. 이후 지원 신청 공고를 내고 2006년 1월까지는 심사 작업을 마무리 할 것이다. 2월부터는 지원 사업을 시작할 것이다. 시간이 많이 부족했던 올해와 달리 본격 궤도에 오른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이 법을 이끄는 주체는 지역 언론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