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재개를 위한 논의를 두고 장고를 이어가고 있다. 당초 지난해 출범을 목표로 움직여 왔지만 비상계엄 사태 후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이 거론되는 정국에 접어들며 재개 시기 등에 대한 공표에 고민이 더욱 깊어진 모양새다.
제평위 재개와 관련해 현재 네이버는 “논의 중”이다. 양대 포털이 참여해 제휴 수준과 입점·퇴출 여부를 정해온 ‘포털뉴스 제평위’가 2023년 5월 잠정 운영을 중단한 후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별도의 제휴 체계 마련을 고민해 왔다. 특히 네이버는 지난해 1월 외부 전문가로 이뤄진 뉴스혁신포럼을 출범하고 연내 제평위 재개를 공언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 안을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배경으로 12·3 비상계엄 이후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 가능성 등 혼란한 정국이 거론된다. 이 시기 공표한 안이 자칫 정치권, 언론계에서 쟁점이 될 경우 네이버로선 ‘불로 뛰어든’ 모양이 되기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언론사와 유관단체의 수익·영향력과 결부되고, 정치권에서 이어져온 편향성 지적은 태생적으로 모두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이 사안의 성격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일례로 지난해 5월 뉴스혁신포럼의 논의 과정에서 제평위 추천단체 명단이 알려지며 여당과 보수 언론단체에서 반발이 나왔다.
관심은 제평위 활동 재개 시점과 구체적인 운영 방식 등에 쏠린다. 네이버가 대선 결과를 본 후 ‘6월 제평위 개최’를 할 거란 지라시(받은글)가 최근 돌기도 했지만 ‘썰’일 뿐 정황을 확인하긴 어렵다. 향후 새 제평위 운영의 틀을 잡는 뉴스혁신포럼에선 올해 들어 정기회의가 없었고, 그간 논의를 아직 문건화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져서다. 다만 카카오가 지난해 10월 단독 뉴스제휴 심사계획을 밝히고 올해 1분기 중 ‘지역’ 부문 언론사 입점 여부를 공지할 예정인 여건에서 네이버로선 무한정 제평위 출범을 늦추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빠른 시일 내 네이버가 제평위를 구성하더라도 정상 가동엔 상당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뉴스혁신포럼이 일종의 ‘제평위 준비위원회’로서 가이드를 만들었다면, 그렇게 꾸려진 제평위는 입점·제재·퇴출에 대한 구체적 심사규정부터 마련해야 하고 이에 3~4개월은 소요되기 때문이다. 결국 2023년 5월 ‘포털 제평위’ 중단 후 양대 포털 모두 새 제평위 체계를 제대로 작동시키는 데까진 2년 넘은 기간이 걸릴 공산이 크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