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MBC본부 "김홍일, 양식도 없는 '떴다방 공직자'"

이사진 선임 절차 중단 및 방송3법 개정 논의 응하라고 촉구
방송기자연합회도 방통위 행태 규탄 성명 발표

  • 페이스북
  • 트위치

방송통신위원회가 28일 KBS와 MBC, EBS 이사진 선임계획을 기습 의결한 가운데 전국언론노조 MBC본부가 “지금이라도 즉각 이사진 선임 절차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28일 오전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방송통신위원회에서 KBS, MBC, EBS 임원 선임 계획에 관한 건 등 제32차 방통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던 중 얼굴을 만지고 있다. /뉴시스

언론노조 MBC본부는 이날 ‘MBC 장악의 욕망을 버려라. 그것이 정권이 사는 길이다’ 제하의 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권이 다시 MBC 장악 절차를 개시했다”고 비판했다. MBC본부는 “정권의 하수인, 김홍일 방통위원장과 이상인 부위원장이 오늘 오전 단둘이서 방통위 전체 회의를 열고 MBC와 KBS, EBS 이사진 선임계획을 기습 의결했다”며 “MBC가 제기한 이상인 부위원장에 대한 기피 신청은 기피 당사자인 이상인 부위원장 스스로 ‘셀프’ 각하시켰다. 그러면서 방통위는 오늘부터 방문진 이사진 공모를 시작해 7월11일까지 공모 서류 접수를 끝내겠다고 못박았다”고 지적했다.

MBC본부는 이사진 선임계획을 의결한 김홍일 방통위원장도 강하게 비판했다. MBC본부는 “김홍일 방통위원장은 오전 전체회의 이후 휴가를 내고 잠적했다”며 “다음 주 초 자진 사퇴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국민권익위원장을 6개월 만에 내던지고 아무런 전문성도 없는 방통위원장 자리를 차지하더니 결국 방송장악 부역자, 제2의 이동관 노릇만 하다 또 다시 6개월 만에 자리를 내던지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위공직자로서 최소한의 양식,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는 ‘떴다방 공직자’ 같은 행태”라며 “위원장직은 내던진다 해도, 방송장악에 부역한 그 대가는 반드시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MBC본부는 정부·여당을 향해서도 즉각 이사진 선임 절차를 중단하고 방송3법 개정 논의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MBC본부는 “방통위의 오늘 결정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방송3법에 아무런 대안도 내놓지 않은 채 거짓 선전으로 시간만 끌어온 이유가 분명해졌다”며 “이들의 목적은 오로지 MBC를 장악하는 것이었음이 확인됐다. KBS에 이어 MBC까지 장악해 언론의 입을 완전히 틀어막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헛된 욕망일 뿐이다. 경고한다”며 “당신들이 MBC를 장악하려 하면 국민의 가혹한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즉각 이사진 선임 절차를 중단하고, 방송3법 개정 논의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방통위 기습 의결, 이사 선임 전 과정 정쟁의 대상으로 만들어"

한편 방송기자연합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방통위의 행태를 규탄했다. 방송기자연합회는 “적어도 회의 소집 이틀 전 위원들에게 고지해야 한다는 방통위 운영 규정도 어겨가며 어제 오후 급히 회의를 잡더니 오늘 오전 끝내 의결을 감행했다”며 “무엇이 그렇게 긴급했나. 왜 이리 이사 선임을 서두르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이번 방통위의 기습 의결은 오히려 이사 선임 논의의 전 과정을 정쟁의 대상으로 만들어버렸다”며 “탄핵안이 발의된 김홍일 방통위원장이 물러나기 전 본인에게 주어진 소임을 다한 것인가. 방송기자들은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방통위의 행보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방통위는 이날 오전 제32차 회의를 열어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및 KBS, EBS 이사 선임 계획 건을 의결했다. 방통위원장에 대한 국회 탄핵안 발의, ‘2인 체제’ 위법성 논란에도 끝내 공영방송 이사 교체를 강행하면서 야당과 언론현업단체들이 방통위를 강하게 규탄했다. 한편 방문진과 KBS 이사 공모는 이날부터 7월11일까지, EBS 이사 공모는 7월12~25일 진행된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