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한국, 현장감 살려 '청년 주거문제' 주목

  • 페이스북
  • 트위치

지난 9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공급한 5평짜리 청년임대주택을 두고 온라인에서 논쟁이 일었다. 청년 한 사람 사는 데 5평은 좁다, 아니다에 대한 갑론을박이었다. 국토교통부가 정한 1인 가구 최저주거기준은 14㎡(약 4.2평). 면적 기준을 간신히 넘긴 16.51㎡(약 5평) 청년주택이 이슈화되면서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청년들의 주거권과 주거 빈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최근 폭넓은 취재와 현장감 살린 기사, 영상까지 더해 청년 주거 문제를 깊게 다룬 기획들이 잇따라 나와 눈길을 끈다.


한국일보는 지난달 31일~이달 5일 보도한 <대학가 新쪽방촌> 기획을 통해 대학가에서 성행하는 ‘빈곤 비즈니스’를 조명했다. 일반 주택의 방을 쪼갠 뒤 화장실과 부엌을 넣어 만든 불법 원룸이 판치면서, 청년들이 비싼 월세를 내는 원룸에 살면서도 주거 빈곤의 경계에 설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짚었다. 한국일보 취재진은 지난 7월부터 서울 한양대 일대 원룸촌의 불법 방 쪼개기 실태를 조사·분석해 이번 기획을 선보였다. 허술한 단속 현황, 법적 보호에서도 취약한 불법 원룸 문제, 여기 사는 청년들의 목소리, 청년과 임대사업자 모두 윈윈하는 청년주택 사례 등도 전했다.


한국일보 영상 브랜드 프란이 제작한 ‘대학가 신쪽방촌’ 영상 화면.

▲한국일보 영상 브랜드 프란이 제작한 ‘대학가 신쪽방촌’ 영상 화면.


경향신문은 지난 5일 <오! 평범한 나의 셋방> 기획기사에서 1·2·3·4·5평에 사는 청년 5인의 이야기를 담았다. 평수에 따라 삶의 질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비교한 것이다. 자신이 사는 방을 “관짝 같다”고 표현한 1평 고시원 거주자부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만원 반지하 5평 원룸에 살며 “운이 좋은 편”이라는 청년을 만나 ‘한 사람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은 얼마인지’에 대해 물음을 던졌다.


이 기사를 쓴 심윤지 경향신문 기자는 “제 경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라 공감하며 쓸 수 있었다”며 “안타까운 사연을 부각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전달했는데 저희 콘텐츠를 보며 눈물이 난다는 독자들의 반응이 있었다. 이런 기사들이 모여 청년 주거 문제가 의제화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오! 평범한 나의 셋방’ 기획기사에 삽입된 영상 캡처.

▲경향신문 ‘오! 평범한 나의 셋방’ 기획기사에 삽입된 영상 캡처.


‘대학가 新쪽방촌’을 기획한 이혜미 한국일보 기자도 “지방출신으로 대학에 입학해 기숙사, 반지하, 원룸 등을 전전하며 살았던 경험이 있어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며 “이번 기사가 청년들의 곤궁한 처지를 악용한 임대업에 경종을 울리고 더 나아가 관계부처의 종합적인 대책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기쁠 것 같다”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