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4월27일 판문점서 개최

[3월30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3차 남북 정상회담 날짜가 4월27일로 확정됐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 회담에 이어 11년 만에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이다. 남북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포함한 정상회담 의제는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30일 상당수 주요 일간지들은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 회담을 통해 결정된 이 같은 사안과 관련해 1면에 사진을 배치하고 다뤘다.

경향신문 30일자 1면사진 캡처.

▲경향신문 30일자 1면사진 캡처.

경향은 관련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달 27일 판문점 남측 지역에서 만난다”며 고위급 회담에서 결정된 3개항 공동문 채택 소식을 전했다. 경향은 “남측은 보도문에서 ‘남과 북은 양 정상들의 뜻에 따라 ’2018 남북정상회담‘을 4월27일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면서 “김 위원장은 북한 최고 지도자로는 처음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 땅을 밟게 됐다. 남북은 또 정상회담 의전, 경호, 보도 관련 사항을 협의하기 위한 실무회담을 내달 4일 판문점 남측 지역에서 열기로 했다”고 게재했다.

국민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국민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국민은 관련기사에서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후 브리핑에서 ‘남북은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이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 정착, 남북 관계 발전에 갖는 중대한 역사적 의미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함께 노력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며 “그러나 고위급 회담 공동보도문에는 남북 정상회담 의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회담에서 논의는 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동아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동아는 관련기사에서 “남북 정상회담 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연결할 남북 간 ‘핫라인’ 설치 논의는 결국 후일을 기약해야 했다”고 보도했다. 동아는 정부관계자 입을 통해 “설치 자체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고위급 대표들끼리 논의하기엔 지나치게 기술적인 부분이 많은 문제”라는 발언을 전하며 “이번 고위급 회담이 정상회담 일자를 확정한 것 외에 ‘확실한 결과물’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게재했다.

서울신문 30일자 1면사진 캡처.

▲서울신문 30일자 1면사진 캡처.

서울은 관련기사에서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2018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양측은 남북 정상회담을 북핵 문제를 다툴 본무대인 북·미 정상회담의 디딤돌로 삼겠다는 구상을 보였다. 일정을 4월27일 단 하루가 정했다는 점에서 양측 정상은 비핵화에 대한 포괄적·원칙적 합의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 비핵화 로드맵의 타결은 북·미 정상회담에 맡긴다는 뜻”이라고 게재했다. 서울은 또 “이날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은 회담 의제를 구체적으로 특정해 공개하지 않았다. 의제의 사전 공개로 오해나 왜곡이 빚어져 북·미정상회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세계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세계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세계는 관련기사에서 “남북고위급회담 양측 대표단은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마주 앉아 덕담을 주고받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회담을 시작했다”며 “북측 인사들이 우리 측 공동취재단을 대하는 태도도 한결 부드러웠다”고 게재했다. 세계는 “이날 고위급회담은 정상회담 택일이 주요 안건이어서 줄다리기 없이 점심도 건너뛴 채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순수 회담 시간은 오전 전체회의 53분(오전 10시~10시53분), 2대2 대표 접촉 22분(낮12시35분~57분), 수석대표 접촉 5분(오후 1시45분~1시50분, 종결회의 11분(오후 2시2분~13분) 등 총 91분”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중앙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중앙은 관련기사에서 “김정은이 ‘단계적·동시적 조치’를 비핵화의 조건으로 내걸고 중국이 이에 동의하면서 복잡해진 북핵 체스판을 바라보는 정부의 속내가 편치만은 않다”며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이 “김정은 위원장이 언급했다고 하는 단계적·동시적 조치의 구체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남북 및 북·미 회담 등 과정을 통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방안들이 협의돼 나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발언한 것을 전했다.

조선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조선일보 30일자 1면사진 캡처.

조선은 관련기사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앞에서 비핵화 구상이라고 밝힌 ‘단계적, 동시 조치’에 대해 AP통신 등 미 언론은 29일 ‘새 병에 담긴 낡은 포도주’라고 했다. 북한 최고 지도자가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바뀌었을 뿐 ‘진정한 핵 폐기’ 없이 시간을 끌며 ‘보상’을 챙기겠다는 수법은 변함이 없다는 냉소적인 평가”라고 보도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