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지난해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기자회견은 내외신 기자 200여명이 참석해 사전 각본없이 문 대통령이 직접 질문자를 지명하는 방식이었다. 11일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등 대다수 조간신문에는 이 같은 소식이 1면 사진을 장식했다.
▲경향신문 11일자 1면 사진.
경향신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국회의 합의를 기다리는 한편 필요하다면 정부도 국민의 의견을 수렴한 국민개헌안을 준비하고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회 논의에 진전이 없을 경우 개헌을 위한 정부안 마련에 착수할 뜻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동아일보 11일자 1면 사진.
동아일보도 “개헌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3월 개헌 발의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국회 쪽 논의를 더 지켜보며 기다릴 것이나 기대하기 어렵다면 정부가 개헌 준비를 자체적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11일자 1면 사진.
중앙일보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개헌 내용에 대해 “최대한 넓은 범위의 개헌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이 지지할 수 있는 최소 분모를 찾아야 하는데 최소 분모에 지방분권 개헌과 국민 기본권 확대는 너무나 당연하다. 단 중앙 권력구조 개편은 합의를 볼 수 없다는 다음으로 미루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11일자 1면 사진.
서울신문은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회담을 위한 회담이 목표일 수는 없다’며 ‘여건이 조성돼야 하고 어느 정도 성과가 담보돼야 한다’고 전제조건을 달았다”고 전했다. 또 “북핵 문제와 남북 관계는 따로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북핵 문제가 해결돼야 남북 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11일자 1면 사진.
세계일보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저는 당장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 제 임기 중에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를 공고하게 하는 것이 저의 목표”라며 “우리의 외교와 국방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재발을 막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11일자 1면 사진.
조선일보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는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우리의 기본 입장’이라며 ‘오로지 대화만이 해법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도 했다”고 전했다. 또 개성공단 재개 등 대분 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독자적으로 대북 제재를 완화할 생각은 지금 없다”고 했다.
▲한겨레 11일자 1면 사진.
한겨레는 문 대통령이 한일 위안부 피해자 합의 후속조치와 관련해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진심을 다해 사죄하고 이를 교훈으로 삼아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할 때 할머니들이 용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것이 완전한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11일자 1면 사진.
한국일보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퇴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작용 우려에 대해 “다소 혼란이 있을 수 있고 취약계층의 고용이 위협받을 소지가 있다. 청와대가 직접 점검해가면서 최선을 다해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