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하는 '포항 지진' 이재민들…재난체계 부실 여전

[11월20일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경북 포항에 규모 5.4의 강진이 발행한 지 5일 만인 19일 이재민들이 사각칸막이와 텐트가 설치된 대피소로 이사했다. 20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는 이재민들이 이사하는 모습과 새 대피소 등을 1면 사진에 담았다.


경향신문 11월20일자 1면 사진.

▲경향신문 11월20일자 1면 사진.


경향신문은 "(19일) 강추위 속에 흥해체육관에 머물던 이재민 800여명은 짐 보따리를 들고 포항시가 제공한 2대의 셔틀버스에 타거나 걸어서 새 대피소로 옮겼다"며 "포항시는 이재민들의 생활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흥해공고와 흥해남산초등학교 등 두 곳으로 이재민들을 분산 수용했다. 흥해체육관은 공간에 비해 이재민이 너무 많아 사생활이 보호되지 않고 위생 청결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지난 17일 저녁 규모 2.6의 여진이 발생한 이후 18일에는 단 한 차례의 여진도 일어나지 않아 잠시 안도했던 이재민들은 19일 규모 2.0~2.4의 여진이 계속 잇따르면서 지진공포가 되살아나는 듯했다"며 "이날 포항의 최저기온이 영하 1~3도를 기록한 데다 한낮에도 7~8도에 머무는 등 한겨울 날씨를 보이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이재민들을 더욱 위축시켰다"고 전했다.


동아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동아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동아일보는 "포항 지진으로 한국 재난 대응 시스템의 민낯이 다시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구 52만 명 대도시를 강타한 지진에 정부와 지방자치단테 모두 허둥지둥했다"며 "가까이는 지난해 경주 지진, 멀게는 2014년 세월호 참사의 교휸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지진 발생부터 5일간 기준과 매뉴얼이 작동하지 않는 대피소에서 10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불안과 불편을 견뎌냈다. 문제는 이들의 장기 수용 대책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이라며 "온풍기 6대가 돌아가지만 오전 3, 4시경에 추위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샤워장도 부족해 상당수는 금이 간 집에 가서 샤워를 해결하고 있다. 날씨가 갑자기 추워져 감기 같은 질병이 쉽게 퍼질 수 있는 구조"라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정부는 뒤늦게 이재민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최소 2년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장기 수용 대책으로 보기엔 턱없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라며 "전문가들은 "이제 지진을 태풍과 장마처럼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로 봐야 한다. 이에 맞늦 이재민 수용 방안 등 새로운 차원의 재해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 11월20일자 1면 사진.

▲서울신문 11월20일자 1면 사진.


서울신문은 "경북 포항 지진으로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건물을 설계하고 감리하는 건축사 상당수가 내진설계에 문외한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오래전부터 “건축사만 내진설계를 맡도록 한 현행법규를 고쳐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지만 건축사들의 반발로 제대로 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은 "19일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등에 따르면 현행법상 2층 이상 건물에는 의무적으로 내진설계를 도입하게 돼 있다"며 "하지만 내진설계 전문가인 건축구조기술사들은 6층 이상 건물에 한해 건축사를 돕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2~5층 건물은 건축사가 내진설계를 전담한다"고 했다.


서울신문은 "문제는 건축사들이 내진설계에 있어 비전문가라는 데 있다. 건축사는 5년제 건축학 인증대학에서 건축구조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뒤 시험에 합격한 설계 전문가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의 건축학과는 대부분 디자인 등 시각적 설계 위주로 교과 과정이 짜이다 보니 내진설계 등 구조공학 분야는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며 "지진에 대해 잘 모르는 건축사가 내진건물을 설계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라는 설명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5층 이하 건물은 사실상 내진설계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IMF 금융위기 20년을 맞아 기획기사와 함께 1997년11월21일 당시 임창열 경제부총리가 IMF 구제금융 신청을 결정했다는 발표 모습과 금모으기 운동 장면을 1면 사진에 실었다.


조선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조선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조선일보는 "IMF 구제 금융 체제는 30대 재벌 중 16개 퇴출, 은행 26곳 가운데 16곳의 퇴출 등 한국 경제를 뿌리째 뒤흔들었지만, 미뤄왔던 각종 개혁 과제를 이행하게 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역할도 했다"며 "당시 IMF 총재였던 미셸 캉드쉬는 '위장된 축복(disguised blessing)'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20년이 지난 지금, 한국 경제는 위기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안전지대에 있는 걸까"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임 전 부총리는 지난 18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외환위기는 일시적 급성 질환이었지만, 지금은 (한국 경제가) 서서히 죽어가는 암(癌)에 걸렸다"고 진단했다"며 "그는 "(주력 산업 중) 조선은 이미 중국에 (주도권을) 뺏겼고, 전자도 얼마 안 남았다"며 "주력 산업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 한국 경제는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조선일보가 IMF 20주년을 맞아 한국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일반 국민 800명과 경제 전문가 48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전문가 68%는 "외환 위기에 버금가는 위기가 향후 5년 내 발생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며 "전문가들은 경제 위기 뇌관이 될 수 있는 취약한 분야로 '주력 산업의 몰락'(20.6%)과 '가계 부채'(17.5%), '낮은 노동생산성 및 노사 관계'(16.5%) 등을 꼽았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우리 국민은 20년 전 실업자가 170만명을 넘는 상황에서도 국난(國難) 극복을 위해 '금 모으기 운동'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선 이런 공동체 의식이 많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시 위기가 터질 경우 국민이 '금 모으기 운동'처럼 고통 분담에 동참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37.8%로 '그렇다'(29.2%)보다 많았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와 한국일보는 첫눈이 내린 제주 한라산 풍경을 1면에 담았다.


중앙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중앙일보 11월20일자 1면 사진.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