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유엔연설 '한반도 평화' 강조

[9월22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강도 높은 대북 제재와 함께 평화적 해결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할 때까지 강도 높고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면서도 "북핵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동북아 안보의 기본 축과 다자주의가 지혜롭게 결합돼야 한다"고 밝혔다.

 

22일 경향신문,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문 대통령을,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문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함께 있는 모습을 1면 사진에 담았다.


▲22일자 경향신문 1면 사진.

경향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의 첫 유엔총회 연설에서 가장 강조한 것은 북한 문제였다"며 "북한은 15분 연설의 절반에 가까울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했고, 참석한 다른 정상들 역시 문 대통령 입에서 가장 듣고 싶은 관심사이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그런데 문 대통령의 연설에는 한·미동맹이라는 말이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다. 대신 유엔의 역할과 다자 안보협력을 북핵 문제 해법 구상에 끌고 들어왔다"며 "이는 일차적으로 유엔 무대에서 하는 연설이라는 점과 관계가 있다. 그럼에도 미국에만 의지해서 외교를 하지 않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평화’라는 단어를 30번으로 가장 많이 썼으며 “안정적 상황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이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뿐만 아니라 이틀 전 “북한 완전 파괴” 등 호전적인 유엔 데뷔 연설로 혹평받은 트럼프 대통령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평화는 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분쟁을 평화로운 방법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는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 말을 인용한 부분에서 문 대통령의 의중이 읽힌다"며 "문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어떠한 군사적 옵션에도 반대한다’는 바람을 표현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2일자 동아일보 1면 사진.


동아일보는 "문 대통령은 세계 정상들을 향해 “전쟁을 겪은 지구상 유일한 분단국가의 대통령인 나에게 평화는 삶의 소명이자 역사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유엔 정신인 평화가 이른바 ‘촛불 혁명’으로 대통령에 오른 자신의 소명이자 책무라고 역설하면서 북핵·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해결 의지를 재천명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약 20분간 진행된 연설에서 문 대통령이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평화’로 모두 30차례 언급됐다. 이어 ‘전쟁’이 11차례, ‘제재’가 4차례, ‘대화’ 3차례 순이었다"며 "특히 유엔 총회 기간 줄곧 북핵 문제의 ‘근원적·포괄적 해결’을 강조했던 문 대통령은 이날 이를 위해 동북아 안보협력체 구상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서울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의 21일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관통한 핵심 메시지는 ‘평화’였다"며 "‘분쟁의 사전예방’과 ‘평화의 지속화’가 바로 유엔이 추구하는 목표임을 상기시키고, 폭력이 아닌 평화의 힘으로 민주주의를 회복한 한국의 ‘촛불혁명’을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은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할 때마다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으로 대응해 왔지만, ‘평화적 방식에 의한 북핵 문제 해결’이 곧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근원적 해법이자 전략적 목표였음을 대내외에 천명한 것"이라며 "향후 압박과 제재 강도를 더 높이는 등 전술적 변화를 꾀하더라도 문 대통령은 가장 큰 원칙인 평화 기조를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이 기조연설에서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평화’(30번)였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은 "문 대통령의 연설은 구체적인 대북 제안만 없었을 뿐 베를린 구상의 기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며 "북한 선수단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여를 성사시키겠다는 의지도 다시 한번 밝혔다. 다만 베를린 구상에서 11번이나 언급했던 ‘대화’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단 3번 언급했다"고 전했다.


▲22일자 조선일보 1면 사진.


조선일보는 "문 대통령에 앞서 기조연설을 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압박과 제재에 초점을 맞춘 반면 문 대통령은 '제재와 대화' 병행 전략을 밝혔다"며 "그러나 문 대통령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지지한다고 하면서도 메시지의 무게는 대화 쪽에 뒀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8·15 경축사 등을 통해 "전쟁은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혀왔는데 이번 연설도 그 연장 선상에 있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이 같은 문 대통령의 '대화로 이끌기 위한 제재' '다자 대화' 방식에 대해 미·일 정상들은 의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북한에 대한 고립과 압박을 내세웠고, 아베 총리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려던 과거의 시도는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고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2일자 한국일보 1면 사진.


한국일보는"문 대통령은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평화는 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분쟁을 평화로운 방법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는 말을 인용해 눈길을 끌었다"며 "미소 간 군비 경쟁 가운데 냉전을 종식시킨 레이건 전 대통령을 언급한 것은, 북한에 대해 ‘완전 파괴’를 언급하며 군사적 옵션까지 배제하지 않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자칫 우발적인 북미 간 군사적 충돌로 한반도 평화를 파괴하는 일이 없도록 북핵 문제를 둘러싼 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 메시지로 풀이된다"도 분석했다.


한국일보는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다자주의 대화’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는 유엔정신의 구현을 강조했다"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핵ㆍ미사일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북한을 대화테이블로 이끌어 내기 위해 한반도 주변국의 제재와 압박뿐만 아니라 유엔 등 국제사회의 동참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식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