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정상, 북 압박 공조...文대통령 "김정은 만날 용의"

[7월7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6일 최근 북한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공조를 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을 직접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모두 G20참석차 독일 방문 중 나온 말들이다. 대부분의 주요 일간지들은 이날 이와 관련한 사진을 1면에 내걸었다.


▲한국일보 7일자 1면 사진 갈무리.

한국일보와 중앙일보, 조선일보, 세계일보, 동아일보 등 주요 일간지는 모두 6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베를린 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하는 모습을 신문 전면에 담았다.


한국은 관련기사에서 문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올해로 한중 수교25주년을 맞아 한중 관계를 실질적, 전략적 협력 동반지 관계로 발전시키길 바란다” “국제사회가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의 대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북핵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것을 전했다. 한국은 “이에 시 주석은 ‘남북대화 복원 및 남북 간 긴장완화를 위해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문 대통령의 주도적 노력을 지지하고 협력하겠다’고 화답했다”고 전했다.


중앙은 관련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사실상의 남북 정상회담 제안을 담은 ‘7·6베를린 구상’을 발표했다”며 “나는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국면을 전환시킬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 “핵 문제와 평화협정을 포함해 남북한의 모든 관심사를 대화 테이블에 올려놓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 협력을 위한 논의를 하자”고 한 발언을 게재했다. 또 이산가족 상봉 재개, 북한의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 등도 제안했다고 부연했다.


세계는 관련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6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압박에 의견을 같이 했다”면서 “하지만 두 정상은 양국 간 최대 갈등 현안인 사드(THAAD) 배치에 대해선 이견을 재확인했다”고 게재했다. 세계는 “시 주석은 ‘중국은 대북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북핵·미사일 저지를 위해 최대한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 주변국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적절한 방안을 조율해 나가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세계는 “두 정상은 사드 배치에 대해선 ‘이견이 있는 부분’으로 남겨뒀다. 시 주석의 사드 배치 철회 요청에 문 대통령은 그간 밝혀온 입장을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은 관련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관련해 ‘아주아주 위험한 행동을 하고 있다’며 ‘매우 혹독한 조치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은 “북한의 ICBM도발이 미국 ‘레드라인’에 근접한 것으로 보고, 이전과 수준이 다른 경제·외교적 대북 제재와 함께 군사적 옵션도 동원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동아는 관련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6일 독일 베를린에서 시진핑 중국국가주석과 첫 한중 정상회담을 열어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지만 양국의 최대 현안인 사드 배치와 북핵 해법을 놓고 평행선을 달렸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 7일자 1면 사진 갈무리.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이 옛 베를린시청 베어홀에서 열린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에서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5대 정책방향’과 이를 위한 남북 대화 재개 등 4대 실천과제를 제시한 모습을 1면에 담았다.


한겨레는 관련기사에서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오직 평화다.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과 전쟁의 위협이 없는 한반도, 남과 북이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함께 잘 사는 한반도’라며 ‘우리는 북한의 붕괴를 바라지 않으며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진하지 않을 것이며, 인위적인 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경향은 관련기사에서 이 같은 선언 등에 대해 “북한의 대륙간탄도 미사일(ICBM) 발사 성공 발표로 당장은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압박 강화 방안에 주력하고 있지만, 문 대통령은 오히려 더욱 대화가 절실해졌다는 점을 역설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