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틀리지 않았다고 인정받아 기뻐"

원직복귀된 정연욱 KBS기자 인터뷰

  • 페이스북
  • 트위치

“돌아가면 당연히 열심히 일을 할 거다. 발언할 기회가 있을 때는 가감 없이 하겠지만 저와 동료들 우선순위는 항상 일이다. 좋은 기사를 쓰고, 리포트를 하고 그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연욱 KBS기자가 돌아왔다. 멀리 제주에서 원래 자리였던 경인방송센터로. ‘청와대 보도개입’에 침묵하는 자사 보도와 간부들을 비판한 기고(관련기사 : 침묵에 휩싸인 KBS...보도국엔 '정상화'망령), 갑작스런 발령(관련기사 : 상식적 질문에 보복인사로 답한 KBS의 민낯), 회사와 소송까지 거친 지난 세 달간의 결론이다. 법원은 그를 ‘귀양’보낸 지난 7월 발령이 “정당한 인사권의 범위를 일탈한 권리남용”이라며 “인사명령 효력을 임시로 정지한다”고 밝혔다.(관련기사 : 정연욱 KBS기자 가처분 승소..."사필귀정" ) 몸담은 곳과 소송까지 벌이는 이에게 우린 어떤 편견을 갖고 있을지 모른다. 그런 그는 지난 14일 기자협회보와의 인터뷰에서 원직복귀 후 회사생활에 대한 질문에 ‘좋은 기사 쓰는 일’을 강조했을 따름이다. 판결 후 KBS는 이에 대해 일언반구가 없다. 결국 피해는 속한 조직에 대한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그래서 슬픔과 분노를 느낀, 가장 평범한 기자의 몫으로만 남았다.

혹자는 이번 판결을 두고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고 했다. 그런데 ‘응당 그리 될 일이 그리 된 것’이라는 이 말에는 무심한 데가 있다. 일이 그리되기 까지 누군가 감내해야 했던 수많은 일들을 그저 바라보는 데 그치기 때문이다. 판결이 어찌 나올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정 기자가 홀로 감내해야 했던 절차들과 마음고생은 그리 녹록한 일이 아니었다. 정 기자는 이번 판결에 대한 소감과 관련해 “더 이상 (동료기자들이) 피케팅을 안 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떠올랐다. 바쁜데 아침 점심에 조를 짜서 피켓을 들고 서 있는 게 저 때문이라는 게 견디기 힘들었다. 많이 답답했는데 제가 틀린 게 아니라는 걸 인정받아 기뻤다”고 했다.


▲기자협회보에 비판 글을 썼다는 이유로 보복인사를 당한 정연욱 기자가 지난 7월21일 서울 여의도 KBS 신관 앞에서 열린 ‘부당인사 철회 및 보도지침 규탄 결의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이어 “회사랑 소송을 하는데 마음이 무거웠다. 심적인 부담도 컸다. 회사가 법원에 제출한 서면자료를 받아봤을 때 특히 그랬다. 내가 속한, 자부심을 갖고 있던 조직이 일개 개인을 향해 전사적으로 공격을 하니까 소송과정이 참 힘들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여러 구제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사측 참고인으로 마주한 기자 선배들과의 대면에 크게 “비애감”을 느꼈다고 했다.   


그가 이런 지난한 길이 될 결심을 한 이유는 인사발령 전 한 마디 설명도 없었던 회사의 처사 때문이었다. 소송 과정에서 20년 이하 기자 중 지역근무를 두 번 한 전례가 없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8년차 정 기자는 지난 2012~2013년 순천에서 순환근무를 마쳤다. 그는 “저도 회사원이고 조직원인데 본사와 지역 간 교류 차원이었다는 취지를 설명하고 양해를 구했다면, 일방적인 지시라 해도 사전에 설명이 있었다면, 이렇게 까지 부당하게 생각하진 않았을 것”이라며 “부당 인사를 내놓고 회사는 이후에도 배경설명은 물론 빈말조차 한 마디가 없었다. 어떤 의사소통도 없었다”고 했다.

여기에 인사명령 사흘 후 나온 국·부장단의 성명은 이 일이 언제고 KBS안에서 재발할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정 기자가 이런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선택은 법적인 절차를 밟는 일밖에 없었다. “이건 내 개인의 문제가 아니구나 했다. 반복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기자들은 기자이면서 생활인이기도 한데 이런 인사로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는 비열하고 비인간적이고 몰지성적인 행태라고 봤다.” 앞서 지난 7월18일 KBS 보도본부 국·부장단은 연명 성명을 통해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기고를 하고서 아무런 일이 없기를 바라는 것이 잘못된 것”, “KBS를 팔아 이름값을 올렸으면 당당하게 뒷감당도 하는 게 당연한 자세”라고 밝힌 바 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해당 성명을 ‘부당인사’의 주된 근거로 언급했다.

일련의 사태를 겪고 제주로 내려가서도 소송을 결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제주총국 대부분의 기자들이 업무 적응을 적극 돕고 보도국 분위기도 좋았지만 일부 간부는 소송포기를 종용하기도 했다. 법적인 절차를 밟는 것 이외에는 오로지 일에만 충실한 시간이었다. 그는 “제주에 와서 다른 오해나 구설수에 훨씬 더 조심했다. 제주총국도 많은 상처를 받았다. 자부심을 갖고 일하는 기자들에게 유배지라는 굴레를 덧씌운 거 아닌가. 누가 되지 않게 열심히 했다. 두 달 반 동안 근무하며 리포트 안 한 날이 5일도 안 될 거다. 그게 걱정해주시는 분들에 대한 맞는 처신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우리가 힘든 시기를 버틸 수 있는 이유는 누군가 우리를 지지하고 응원하기 때문일지 모른다. 시종일관 당당하게 답하던 정 기자는 가장 힘이 된 이들을 묻는 질문에 목이 메였다. “제가 머문 두 달 반 동안 매주 (본사)선배나 후배들이 주말마다 찾아왔다. 휴가나 여행을 오신 분들은 잠깐이라도 꼭 보고 갔다. 고맙다는 말로는 다 담질 못 하겠다. 본사에서 온 분들과는 유쾌한 얘기만 하지 않았겠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숙소에 오면 굉장히 마음이 무거웠다. 물리적으로 멀리 와 있어 심적으로 고립감이 들었다. 한 달 정도 지나면, 기자들이 워낙 바쁘니까, 일상에서 잊혀질 거라 생각했다. 회사 안에서도 싸워야 할 일들이 발생하니까 잊혀질 준비를 했다. 꾸준히 찾아준 동료들의 ‘이해한다’ ‘고맙다’ ‘지지한다’ 미안하다‘는 말이 큰 힘이 됐다.”

KBS는 법원 판결문이 송달된 이후인 지난 12일자로 정 기자의 소속 부서를 원래대로 바꿨지만 새로 인사발령을 내진 않았다. 법적으로 지난 7월 인사명령이 무효가 됐으니 자연히 원상복귀되는 것으로 정리한 분위기다. 인사발령을 다시 낼 경우 공식적으로 최초 인사가 잘못된다는 것을 인정하는 모양새가 돼 버려 이를 거부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정 기자는 "발령 전에도 후에도, 판결이 나고도 회사는 아무 말도 없었다. 이해를 구하거나 대화가 없었다. 상황설명도 없다. 오죽했으면 (판결 후) 내가 인사운영부에 전화를 했을 정도"라며 "정말 서운하다"고 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