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6~7일 노동당 7차 대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핵보유국 지위를 유지하면서 '세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9일 종합일간지 대부분은 이 내용을 1면 머리기사로 다루면서 다양한 분석을 내놨다.
▲9일자 경향신문 1면 사진 캡처.
경향신문은 "36년 만에 열린 북한의 제7차 노동당대회에서는 정치·경제 분야에 대한 새로운 정책적 모색의 흔적이 없다. '김정은 1인 영도체제'를 선포하기 위한 요식행위이며 핵무기는 이를 정당화시켜주는 명분으로 이용될 것이라는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북한은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제재 강화와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험난한 앞날이 예상된다. 한·미는 당분간 '압박 강화'라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9일자 세계일보 1면 사진 캡처.
세계일보는 "김 위원장이 '세계의 비핵화'를 언급한 것은 핵 포기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이 이번 당 대회를 앞두고 5차 핵실험을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으나 실제 도발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게 정부 안팎의 전망"이라며 "이는 국제 사회의 관심이나 향후 미국과의 협상을 감안한 '수사적 표현'으로 보인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라고 했다.
▲9일자 중앙일보 1면 사진 캡처.
중앙일보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다는 조건을 내걸고, 이를 수용한다면 북한이 2003년 탈퇴한 핵확산방지조약(NPT)에 복귀할 수 있으며 '북한의 비핵화'가 아닌 '전세계의 비핵화'를 논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미국·영국 등 기존의 핵보유국과 이란·파키스탄·이스라엘 등 실질적 핵보유국 반열에 북한을 함께 올리겠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9일자 한국일보 1면 사진 캡처.
한국일보는 "북한은 핵능력을 고도화시켜 핵 위협과 유화 공세를 교차로 되풀이하면 "북핵을 어쩔 수 없이 묵인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국제 여론이 형성돼 '파키스탄 모델'처럼 암묵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기 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내년 차기 미국 행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언제든지 다시 핵실험 도발에 나서 핵 위협 수위를 한껏 끌어 올릴 가능성도 크다"고 보도했다.
▲9일자 국민일보 1면 사진 캡처.
국민일보는 가습기 피해자 유가족의 사진을 1면에 실었다. 국민일보는 "옥시레킷벤키저 의뢰로 서울대 수의과학대 조모 교수팀이 진행한 흡입독성 시험에서도 가습기 살균제와 폐 섬유화가 연관됐다는 일부 증거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며 "하지만 연구 책임자 조 교수가 실험 데이터를 고의 누락한 채 폐 병변 관련성을 부정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검찰은 본다"고 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