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외교 3각 체제 변화...중국, 갈림길에 서다

[1월 9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동북아 외교지형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한국 미국 일본이 북핵을 매개로 3각 안보체제를 강화하며 중국을 압박하는 등 지난 3년간 경제 위주로 프레임이 짜졌던 동북아 외교가 다시 안보 문제로 유턴하고 있다.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맞대응으로 전방지역 11곳의 대북 확성기 방송을 8일 정오부터 재개했다.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대부분의 주요 일간지는 9일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와 관련한 소식을 1면 사진으로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와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 라디오 드라마, 최신 가요 등이 포함된 확성기 방송을 최전방 11곳에서 일제히 실시했다며 관련 소식을 전했다. 경향은 정부가 지금 시점에서 북한을 자극하는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것은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일치된 대응을 이끌어내는 데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 측면에서 실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고 덧붙였다.

 

동아일보도 북한 김기남 노동당 비서가 나라의 정세를 전쟁 접경에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난하는 첫 반응을 나타냈고, 우리 군은 북한이 도발하면 서너 배로 보복 응징할 계획이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조선일보는 중국이 그 누구보다도 대북 영향력을 갖고 있고 교역 중단 등을 포함해 김정은 정권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위치에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고 전했다. 조선은 이어 뉴욕타임즈의 사설을 인용, “북핵 위협 해결에 평화적 방식으로 힘을 보태는 것은 세계 리더가 되겠다는 열망을 가진 중국에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일보도 한미일 3각 안보체제 강화는 센카쿠 열도와 남중국해 영토 분쟁 등으로 중국과 미일의 패권 다툼이 치열한 동북아 안보 지형에서 중국을 자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날 중앙일보는 북한 고립의 키는 중국이 갖고 있다. 북한은 여전히 원유 등 중국의 경제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이 대북 강경으로 선회하면 동북아 정세는 한미중일 대 북한의 대결구도로 재편돼 북한 핵문제를 푸는 데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앙은 하지만 중국은 선택을 미루고 있다중국이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박근혜 정부의 외교는 다른 선택을 강요받을 수 있다. 한미일 공조를 앞세운 미국이 한중 관계의 한계를 비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