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위안부 협상 차선이었다"

[12월30일 아침 라디오시사프로그램 브리핑]

  • 페이스북
  • 트위치

오늘의 말말말

“안철수 신당, 경제 전문가·기업인 영입 1순위”
-문병호 무소속 의원이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서 인물 영입과 관련해 깜짝 카드를 준비하고 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경제와 민생에 초점을 맞추고 인물 영입을 할 것이라면서 한 말.


“새해에 기적이 일어났으면”
-경찰이 직사한 물대포에 맞아 쓰러진 백남기 농민의 큰딸 백도라지씨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의사 말로는 의식이 깨어나기 어렵다는데 새해 소망으로 기적이 일어나 아버지가 회복하셨으면 좋겠다며 한 말.


“장·차관들, 선거 경험 없는 정치 신인들”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 유기준 의원이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서 청와대 참모출신, 장·차관을 정치 신인으로 분류해 10% 공천 가산점을 주는 데 비박계가 반발하자 이를 일축하며 한 말.


한·일 정부가 지난 28일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합의를 이뤘지만 논란이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법적 책임을 명확하게 받아내지 못했다는 비판부터 합의 내용에 대한 양국 간 해석도 미묘한 시각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는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을 맡고 있는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이 출연해 이번 합의와 관련한 견해를 밝혔다.


나경원 의원은 이번 합의에 대해 “아쉬움과 한계가 있지만 외교적 협상으로는 차선의 선택이 아니었나 싶다”며 “한·일 관계를 정상화 시켜야 한다는 요구와 함께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를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는 요구도 상당히 있었기 때문”이라고 평했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9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 결과 설명을 위해 서울 마포구 연남동 정대협 쉼터를 찾은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에게 항의하고 있다.


나 의원은 “사실 아베 정부는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고 있었는데 최근 헌법소원이 각하되고 산케이 지국장이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어느 정도 해결 의지를 갖게 됐다”며 “의지를 가질 때 타결하지 않으면 위안부 할머니 문제를 풀기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정작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견을 구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미리 이해를 구하는 부분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도 “이번 회담이 합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베 총리의 공식적인 사죄 표명 등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에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회복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양국의 성실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불가역적인 해결’에 대한 해석이 분분한 것에 대해서는 “불가역적인 표현을 꼭 일본 정부만 주장했다기보다 우리 정부도 일본이 책임을 부정하는 쪽으로 돌아가지 말라는 뜻에서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합의문에도 있지만 조치를 성실하게 이행하는 것을 합의의 전제로 볼 수 있는데 일본이 만약 역사를 거꾸로 돌리는 시도를 하면 우리가 단호하게 대응해야 될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후속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임을 확인한 것이다. 만약 거꾸로 한다면 우리도 후속 조치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일본이 역사교과서 기술을 어떻게 할지 묻는 질문에는 “그 부분에 있어 또 걱정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좀 더 후속적으로 주장하고 관철해야 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 부분도 넓게 보면 당연히 불가역성을 의미하기에 지속적인 주장을 해야 될 것”이라고 답했다.


나 의원은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부가 이전하기는 힘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소녀상 문제는 합의문에 보면 노력하겠다는 내용에 불과하고 소녀상 이전 등 관련 문제는 시민단체가 주도하고 있다”며 “정부로서도 일본 정부에 우리가 최선을 다했지만 결국 시민단체를 설득하지 못해 이전하기 어렵게 됐다고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의 태도가 바뀔 가능성에 대해서도 “정부가 노력했는데 안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일본도 문제제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낙관했다.


나 의원은 향후 한·일 관계 전망에 대해서는 “그동안 너무 비정상적이었고 또 그것으로 일본 내 혐한정서가 확산돼 우려가 굉장히 컸다”며 “이번 합의를 계기로 한·일 관계가 비정상에서 정상화되는 그런 계기가 되길 바라고 또 실질적으로 경제 분야나 북핵 문제에 있어 좀 더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