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중재에 한상균 위원장 자진출두

[12월10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조계사 경내에서 25일째 은신 중이던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10일 경찰에 자진출두했다. 경찰은 당초 하루 전날 한 위원장에 대해 최후 통첩을 통보한 뒤 9일 오후 조계사 경내 진입을 통해 영장을 집행할 예정이었지만 조계종이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해당 시각까지 한 위원장의 거취를 해결하겠다며 중재를 선언, 상황이 급반전했다. 10일 모든 주요 일간지들은 이와 관련된 사진을 신문 전면에 내걸었다.


▲10일자 경향신문 1면 사진 캡처


경향신문은 9일 밤 서울시 종로구 조계사 경내에 진입한 경찰이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피신해 있는 관음전 건물을 에워싸고 있는 모습을 1면 사진으로 선택했다. 경향신문은 관련기사에서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은 9일 ‘내일 정오까지 한상균 위원장의 거취문제를 해결하겠다’며 ‘경찰과 민주노총은 모든 행동을 중단하고 종단의 노력을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이날 조계사로 진입해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53)을 체포하려 했던 경찰은 자승 총무원장의 제안을 받아들여 한 위원장 체포영장의 집행을 잠정연기했다”고 게재했다. 한 위원장은 지난달 14일 경찰과 충돌을 빚은 ‘광화문 집회’에 참가한 위 그달 16일부터 조계사에서 도피생활을 해 왔다.


▲10일자 서울신문 1면 사진 캡처


서울신문은 조계사에 투입된 경찰이 한 위원장의 투신에 대비해 매트리스를 옮기는 모습을 전면에 내세웠다. 서울신문은 관련기사에서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이 체표영장 집행 유예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 직전의 급박했던 상황을 전하며 “오후 4시가 넘어서면서 경찰 기동대 12개 중대 약 1000명이 모텔을 개조한 일반 건물인 관음전 인근을 에워쌌다. 경찰의 진입에 항의하는 대학생 불교청년회원들이 경찰과 충돌했으며 조계종의 상징인 ‘삼보륜’ 스티커를 가슴에 단 조계종 직원 100여명도 경찰의 진입을 막으려고 몸싸움을 벌였다”고 전했다. 이어 “경찰은 관음전에 남아 있던 일부 신도를 밖으로 내보냈다. 일감 스님 등 스님 10여명이 관음전 1층 양쪽 출구 앞에서 목탁을 두드리며 경찰의 진입에 항의해 긴장감은 최고조에 이르렀다”고 덧붙였다.


▲10일자 한겨레신문 1면 사진 캡처


한겨레신문은 한 위원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겠다며 9일 오후 경찰이 관음전 앞에서 인간띠를 하며 경찰진입을 막던 스님과 직원들을 끌어내고 있는 모습을 대문사진으로 선택했다. 헌겨레신문은 관련기사에서 “9일 조계사에 대한 공권력 투입이 일단 ‘유보’된 과정은 조계종의 제안을 경찰이 수용하는 모양새를 띠었다. 경찰은 강제 진입이라는 비난을, 조계종은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각각 의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리적인 충돌은 양쪽 모두에 큰 부담이 된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인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포함한 당사자 간에 ‘평화적 해결책’에 대해 어느 정도 접점을 찾은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10일자 세계일보 1면 사진 캡처


세계일보는 한 위원장의 체포를 두고 경찰과 조계사 스님, 직원 등이 한 데 뒤엉켜 있는 모습을 1면 사진으로 선택했다. 세계일보는 관련기사에서 “경찰이 9일 조계사에 피신 중인 한상균 민주노총위원장에 대한 영장 집행을 시도한 것은 더 이상 결단을 미룰 수 없다는 경찰 내부의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승 총무원장이 막판 중재에 나서면서 한 위원장 체포를 하루 뒤로 연기하긴 했지만, 정당한 법집행을 요구하는 여론을 확인한 것은 적지 않은 수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10일자 중앙일보 1면 사진 캡처


중앙일보 역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는 경찰과 이를 막으려는 스님 등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는 모습을 신문 첫 면에 내보였다. 중앙일보는 관련기사에서 “불교 조계종의 ‘화쟁정신’이 서울 조계사 공권력 투입에 대한 파국을 일단 막았다”며 “경찰이 예고했던 9일 오후 4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시점이 지나자 조계종은 난감해 했다. 종교성지에 경찰 병력이 투입될 경우 조계종으로서도 정부를 향한 ‘일전’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대정부 싸움’이 시작되면 종단으로서도 난감하고 정부도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10일자 동아일보 1면 사진 캡처


동아일보 역시 같은 사진을 신문 전면에 내세웠다. 동아일보는 관련기사에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조계사 은신생활이 10일 정오까지 또다시 연장되자 조계사가 ‘소도’처럼 범죄 혐의자의 방패역할을 하는 것이 과연 맞느냐는 비난여론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다. 동아일보는 “종교단체가 은신처로 받아들여진 것은 1970년대 군사독재 시절로 거슬러온라간다. 1974년 인민혁명당 사건에 연루됐다며 박정희 정권이 지학순 주교를 구속하자 천주교가 민주화운동의 전면에 나서면서 명동성당은 군사정권도 들어갈 수 없는 성역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2000년 한국통신 노조의 농성 이후 명동성당 측이 ‘더 이상 점거집회나 천막농성을 방관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으면서 상황은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이어 “조계사가 최근 새로운 은신처로 각광받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 2002년 3월 경찰이 경내로 들어가 발전노조 조합원 7명을 체포한 뒤 불교계의 반발이 거셌다. 그런 배경 때문에 2008년 8월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지도부와 이석행 민주노총위원장이 100일간 조계사에 피신했을 때 경찰은 불교계의 반발을 의식해 진입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10일자 조선일보 1면 사진 캡처


조선일보는 서울 조계사 자승 총무원장이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모습을 전면에 내세웠다. 조선일보는 관련기사에서 “폭력으로 얼룩진 민주노총의 20년 역사는 ‘법치주의를 사실상 부정하며 자신들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불법·위법 행위까지도 용인된다는 민주노총의 위험한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노동전문가들은 진단한다”며 “노동자를 착취하는, 기업이라는 ’적‘을 상대로 벌이는 자신들의 투쟁은 ’절대 선‘이기 때문에 법을 무시하는 행위가 서슴없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