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한겨레, '역사교과서 불복종' 움직임 조명

[11월5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확정 고시되며 여기에 맞서는 불복종 운동이 번져가고 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5일 국정교과서에 대한 시민들의 반대 움직임을 1면 사진으로 실었다.

 

▲11월5일자 경향신문 1면 사진 캡처.

 

경향신문은 이날 사이버 공간과 집회에서는 난 반댈세스티커와 손 팻말이 확산되고 있고, 세대 직종 지역을 가릴 것 없이 시민 저항이 다양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향에 따르면 전국 70여개 대학 역사학과 학생회와 학부생, 대학원생들의 모임인 전국역사학도네트워크는 정부가 강요하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국정화 폐기를 요구했다. 또 사회 인문과학 학자들이 모인 한국사회사학회 소속 교수 90명도 이날 실명을 담은 국정화 규탄 성명서를 발표하고 집필거부를 선언했다.

 

경향은 정부가 국정화 확정고시를 강행한 전날까지 대한의사학회, 민변, 작가회의, 법학자, 현업 언론인들이 국정화 철회를 요구한 데 이어 국정화 반대 물결이 역사학계를 넘어 지식인 사회 전체로 퍼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 불복종 선언은 지역으로도 빠르게 번지고 있다경기 대구 대전 제주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교과서 국정화 백지화 운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고, 전남대 대구대 학생들도 국정화 반대성명서를 발표했다고 했다.

 

▲11월5일자 한겨레신문 1면 사진 캡처.

 

한겨레신문도 전국 역사학도 네트워크 회원들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광장에서 내년 역사 교육을 받고 있을 우리 학생들에게 미안합니다등의 글귀를 적은 종이를 들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을 다뤘다.

 

이날 한겨레는 국정교과서 개발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편향성 시비를 막겠다던 정부가 결국 40명 남짓한 집필진 가운데 2명의 대표 필자만 공개하고 나머지에 대해선 비공개 가능성을 내비쳤다밀실 집필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이날 세계일보와 서울신문은 4일 열린 한-프 정상회담과 관련한 사진을 1면에 실었다. 세계일보는 박 대통령과 올랑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북핵 공동 대응을 비롯한 11개 분야의 양국 협력 방안을 담은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 강화를 위한 행동계획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if !supportEmptyParas]-->

▲11월5일자 서울신문 1면 사진 캡처.

 <!--[endif]-->

서울신문 또한 양국이 내년 상반기에 제6차 한프랑스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열기로 하고 디지털 헬스케어를 포함한 생명 보건과학, 혁신적인 교통수단, 나노기술 등 첨단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서울신문은 지난해 출범한 한 프랑스 신산업협력포럼 등을 통해 신성장산업 간 교류를 뒷받침하기로 했다인공위성 공동 연구 등 한공 우주 분야에서도 양국 기관 간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에 대한 내용을 1면 사진으로 보도했다.

<!--[if !supportEmptyParas]--> 

▲11월5일자 동아일보 1면 사진 캡처.

<!--[endif]-->

조선일보는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의 충돌로 국방장관회의가 파행으로 끝났다라며 선택의 순간에 한국은 중국이 보는 앞에서 미국의 편에 섰다고 전했다.

 

조선은 한국이 공동선언문에 남중국해에서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는 문구를 넣어야 한다는 미국의 주장에 찬성했다고 덧붙였다.

 

동아일보 또한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정면 대결로 공동선언문 채택이 무산되는 등 양국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아는 중국은 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해 당사국 해결을 원칙으로 내세우며 다자회의에서 논의할 수 없다고 주장한 반면,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가 중요하다는 표현을 담을 것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동아는 이어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은 일본 필리핀 등과 연합전선을 구축했지만 캄보디아 등이 중국을 지지하는 등 각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