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0~26일 금강산서 이산상봉...아슬아슬한 날짜 우려도

[9월9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남북한이 다음달 20일부터 26일까지 금강산 면회소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기로 8일 합의했다. 실무 준비 기간과 추석 연휴,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10일) 휴일을 두고 고려한 일정이나,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 가능성 때문에 아슬아슬한 날짜 잡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9일 상당수 주요 일간지들은 이 같은 소식과 관련된 사진을 1면에 내세웠다.


▲9월9일자 한국일보 1면 사진 캡처.


한국일보는 남북이 다음달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에 합의한 8일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를 찾은 고령의 실향민이 상봉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하는 모습을 대문사진으로 걸었다. 한국일보는 관련기사에서 “남북은 7일 오전부터 8일까지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고 ▲이산가족 상봉행사 진행 일정 및 규모 ▲가까운 시일 내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 등을 골자로 하는 합의서를 채택했다”고 전했다.


한국일보는 “남북이 8.25합의 이후 첫 회담에서 약속 이행 의지를 확인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향후 당국회담이나 민간교류 활성화 등 다른 합의사항 협의로 이어지는 계기도 마련됐다”며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원칙을 북이 달가워하지 않았고, 날짜변수 때문에 향후 상봉 일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은 불안요소”라고 게재했다.


한국일보는 그러면서 “북한이 10월10일을 전후해 장거리 로켓발사 시험에 돌입할 경우 남북간 긴장고조로 행사가 예정대로 열리지 못하거나 분위기가 험악한 상황에서 겨우 진행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전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역시 같은 사진을 1면 사진으로 선택했다. 중앙일보는 사진설명을 통해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대표단이 무박2일 협상 끝에 금강산에서 다음달 20~26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열기로 8일 합의했다. 남북이 100명씩 상봉 대상자를 선정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대한적십자사는 9일 오전 인선위원회를 열고 선정기준을 확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는 “적십자사는 6만6000여 명의 이산가족 중 고령자와 직계가족 상봉 우선원칙을 고려, 컴퓨터로 500명을 추첨한 뒤 북측에 보낼 생사 확인 의뢰 대상자 250명을 선정할 예정”이라며 “남북은 15일까지 생사 확인 의뢰서를 교환하고, 다음달 8일 최종 명단을 교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9월9일자 서울신문 1면 사진 캡처.


서울신문은 남측 한 이산가족이 8일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 이산가족 민원실에서 아버지가 유품으로 남긴 이북고향지도를 펼쳐보고 있는 모습을 대문사진으로 선택했다. 서울신문은 관련기사에서 “지난해 2월 마지막으로 개최된 이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1년8개월만에 재개되는 셈”이라며 “이번 실무접촉에 남측 수석대표로 나섰던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은 ‘국군포로 이산가족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일반 이산가족 명단 50명이 추가된 것’이라며 ‘국군 포로 이산상봉을 신청한 이들은 북쪽 가족이 확인되면 100%상봉단에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서울신문은 또 다른 관련기사에서 “북한이 지난 7~8일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에서 과거와 달리 합의 마련을 위해 인내하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고 게재했다. 서울신문은 이어 “과거 북한은 협상장에서 자신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마다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는 등 특유의 벼랑 끝 전술을 구사했었다”면서 “하지만 지난달 하순 남북 고위급 접촉 때 무박 4일간의 마라톤 회담에 이어 이번 접촉에서도무박 2일동안 끝까지 회담장을 지켜 회담방식이 이런 식으로 굳어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고 전했다.


▲9월9일자 경향신문 1면 사진 캡처.


경향신문은 남북이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한 8일 이산가족들이 강원 철원군 민통선 지역에서 북측을 바라보는 모습의 사진을 1면에 걸었다. 경향신문은 관련기사에서 “남북이 일 적십자 실무접촉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일정을 확정함에 따라 정부와 대한적십자사의 준비가 바빠졌다. 약 40일의 준비 기간을 거쳐 10월20일부터 두차례에 걸쳐 남북 각각 100명의 이산가족이 70년만에 만나게 된다”며 “다만 다음달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전후한 장거리로켓 발사 등 군사돨 여부가 상봉행사의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게재했다.


경향신문은 “문제는 상봉시점이다. 상봉이 북한 노동당 창건 기념일 열흘 후로 잡히면서 변수가 생겼다”면서 “북한이 창건 기념일을 전후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거나 핵실험을 하게 되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다시 고조되고 오랜만에 조성된 남북 대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게 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이어 “실제 북한이 로켓 발사에 나선다면 정부는 유엔차원의 제재 논의 등을 통해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이어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원활히 이뤄진다고 장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경향신문은 “결국 지난해 2월20일 이후 1년8개월만에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재개되기 위해서는 북한의 군사적 도발 자제와 저우의 인도적 차원 교류를 지속하려는 의지가 동시에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남북모두 상대방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게재했다.


▲9월9일자 조선일보 1면 사진 캡처.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이 한국에서 쓴 의료비를 지원하라는 한국 피폭자들의 소송결과에 대한 보도도 이날 1면을 장식했다. 조선일보는 한국인 원폭 피폭자들을 지원해온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8일 ‘오사카부는 한국인 피폭자가 한국에서 쓴 의료비 등에 대해서도 보전하라’는 일본 법원의 최종 판결이 나온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의 사진을 1면에 내걸었다.


조선일보는 관련기사에서 “최종적으로 이겼다”며 “8일 오후 3시 도쿄 지요다구 최고재판소 제3소법정. 2011년 이홍현(69)씨 등 한국인 원폭 피폭자 3명이 오사카부를 상대로 낸 소송의 최종심 결심 공판이 열렸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오카베 기요코 일본 최고재판소 판사는 하급심 판결을 확정했다”며 “앞서 1심과 2심은 이씨 손을 들어줬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번 판결은 이들이 일본인 피폭자들과 똑같은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밝힌 첫 확정판결“이라며 ”앞으로 일본 정부는 재외 피폭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시스템을 정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선일보는 ”단, 이번 판결로 당장 혜택을 보는 한국인 피폭자는 뜻밖에 많지 않을 수 있다“며 ”성낙구(71)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회장은 ‘한국 피폭자 중에는 가난한 분이 많아서 한도가 200만원일 때는 200만원, 300만원일 대는 300만원, 대부분 이렇게 일본 정부가 쓰라는 대로 돈을 썼다’면서 ‘그동안 몸이 아파도 돈이 없어 옳게 진료도 못 받고 돌아가신 분이 많다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고 전했다.


▲9월9일자 동아일보 1면 사진 캡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3년 연임 소식도 1면을 장식했다. 동아일보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8일 도쿄의 한 호텔에서 열린 선거 출정식에서 지지 의원들과 함께 승리를 다짐하고 있는 모습을 대문사진으로 걸었다.


동아일보는 관련기사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예상대로 2018년 9월까지 3년 연임에 성공했다. 일본 정치권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가 2020년 올림픽을 주관한다는 명목으로 당규를 고쳐 3선까지 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한국은 아베 총리의 장기집권에 대비한 외교 전략을 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고 게재했다.


동아일보는 “자민당이 투표 없이 총재를 결정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2001년 8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홍리 이후 14년 만”이라며 “2012년 재집권한 아베 총리가 3년 더 집권하게 되면 통산 약 6년9개월(2436일)간 총리로 재임하게 된다. 자신의 작은외할아버지인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와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에 이은 전후 세 번째 장수 총리 기록”이라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일본 언론 상당수는 아베 독주에 우려를 나타났다”며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자 사설에서 ‘지금의 자민당은 일본 군국주의 시절 관제 국민동원기구였던 ’대정익찬회‘같다는 조롱을 들어도 어쩔 수 없는 현실이 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