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실있는 남북 언론교류를 기대하며
조만간 평양에서 열리는 민족통일대축전(6.14~17일)을 계기로 한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남북한 언론교류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같은 분단국가로서 독일 통일과정에서 언론이 수행했던 비중을 뒤돌아 볼 때 향후 남북통일은 물론 한반도 평화정착 과정에서 언론이 담당해야 할 의무와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주지하다시피 독일 통일과정을 지켜보며 남북한 언론교류 필요성이 제기된 뒤 급물살을 타게 된 것은 615정상회담이 개최된 지 2개월만에 남한 언론사 사장단이 방북하면서부터다
뉴미디어와 신문
뉴미디어시대 언론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그 변화의 속도를 가늠 못해 문화지체마저 느낄 정도다. 뉴미디어의 하나인 인터넷신문도 어느 날 갑자기 구시대의 유물이란 핀잔을 들을 지도 모를 일이다. 인터넷강국의 국민들은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 라는 광고카피처럼 늘 새로운 것을 목말라 하기 때문이다.뉴미디어는 198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정보수단을 말한다. 음성과 문자의 다중방송,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직접방송, 대화형의 방송매체, 가정용팩시밀리, 고도정보통신시스템 등으로 다양하게 발달해왔다. 뉴미디어의 총아로 떠오른 DMB는 방송
한결체 첫 발걸음을 주목한다
오늘도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의 양을 이루 다 헤아리기 어렵다. 정보 고속도로를 내달리는 속도는 두 눈으로 붙잡을 수 없을 만큼 거세다. 인터넷미디어의 질풍노도 속에서 저널리즘이 휘청거리고 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선별자' 신문이 고민하고 있다. 바야흐로 우리 사회의 의제를 독보적으로 규정하며 언론의 제왕으로 군림했던 신문이 새로운 변신을 할 때가 온 것이다. 신문 변혁의 당위성은 안팎에서 요청 받고 있다. 신문은 지식정보의 가공 생산품으로써 철저하게 산업과 신문 시장의 논리에 지배받으면서 동시에 시대담론의 증폭장치로 기능
기사가 살아야 신문이 산다
기사가 가벼워진 탓인가. 예전보다 오탈자가 많아졌다. ‘바로 잡습니다’ ‘정정 합니다’ 코너가 붐빈다. 반론문 게재도 부쩍 늘었다. 그만큼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충분한 사전 취재가 부족했고 성급하게 기사작성을 했다는 증거다. 최근 기자협회보 조사에 따르면 가판 폐지 이후 중앙지들의 틀린 글자나 잘못된 표기가 훨씬 더 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각 신문사 편집국마다 오탈자 예방 비상이 걸렸다. 가판의 순기능 중 하나가 지면을 재점검할 수 있는 안전판역할인데 이젠 신문사마다 가판을 폐지하니 신문 품질의 하자를 재빨리 잡아내지 못하고…
신문의 변화를 환영한다
신문이 변하고 있다. 지면이 살아나고 있다. 읽을거리도 다양해 졌거니와 볼거리도 많아 졌다. 덩달아 신문 보는 재미도 새록새록하다. 반갑기 그지없는 일이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모든 신문은 ‘그 나물에 그 밥’이었다. 제호를 보지 않으면 어느 신문인지 모를 정도로 1면부터 마지막 면까지 꼭 빼닮은 ‘쌍둥이 천지’였다. 다른 점이라곤 주의 주장뿐. 그나마 논조와 지향점만 달랐을 뿐 팩트를 침소봉대해 독자를 ‘의식화’하려는 양태는 별로 다를 게 없었다.그런 신문들이 이제 바뀌고 있다. 우선 1면이 달라졌다. 매일 1면 머리기사가 같
‘거대 통신 언론재벌’의 탄생을 경계 한다
이른바 ‘내 손안의 TV’로 불리는 위성 DMB가 지난 1일 첫 전파를 내보냈다. 통신사업자 SK텔레컴은 자회사 ‘TU 미디어’를 통해 자체 채널은 물론 뉴스, 스포츠, 드라마, 음악, 영화, 게임 등 비디오 채널 7개와 오디오, 'PPV'(Pay Per View) 등을 송출할 예정이다. 쉽게 말해, 위성 DMB는 통신사업자가 여러 개의 방송사를 동시에 개국한 형국이다. 그러나 위성 DMB는 SKT라는 특정 회사가 이동 위성수신 단말기에 유료로 방송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한다는 목표로 시작됐다. 무료의 보편적 서비스가 목적인 지상
방송발전기금은 방송위 ‘쌈짓돈’ 아니다
방송위원회가 내년부터 시행하겠다며 내놓은 ‘방송발전기금 운용체계 개선방안’에 대해 한국기자협회를 비롯, 한국신문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전국언론노조·한국언론재단 등이 한 목소리로 반발하고 있다. 5개 언론단체들이 특정 사안을 놓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것으로, 그만큼 사회적 공감대가 크며 방송위의 개선방안이 명백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언론단체들은 방송위의 방안이 ‘개선’이 아니라 ‘개악’이라며, 실정법 위반과 근시안적 발상이라는 점 등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방송위가 개선안에서 발전기금을 방송관
동아의 혁신에 거는 기대
동아일보가 내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은 우리를 기쁘게 한다. 이 신문은 누가 뭐래도 국내 대표적 언론의 하나다. 동아의 최근 행보가 스스로 몰락을 자초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셌던 것도 사실은 우리 국민이 이 신문의 80여년 역사에 갖는 애정 때문이었다. 따라서 동아의 내부 혁신은 그들만의 것이 아니고 신문 수요자인 국민들의 것이다. 이번 소식이 특별히 반가운 것은 밑으로부터의 개혁 열망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그동안 간간히 제 목소리를 내왔던 평기자들이 이번엔 집단적으로 나섰다. 경영진은 과거처럼 이를 억누르려 하지 않고
주5일제 빈틈없이 대비해야
사회 각 분야에서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고 있다. 지난해 7월 1일부터 1천명 이상 사업장에서 주5일 근무제가 의무적으로 시행된 데 이어 올 7월 1일부터는 3백명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사회 분위기에 편승해 3백명 미만의 사업장이라도 회사 자율적으로 이미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 곳도 적지 않은 듯하다.금융권과 관공서와 연관된 일을 하는 사업장일수록 토요 휴무제를 시행하는 곳이 많은 것같다. 은행과 관공서도 문을 닫는 판에 토요일날 나와 봐야 무슨 일을 하겠냐는 것이다. 이미 금융권은 주5일 근무에 돌입한 지 2년
KBS 구성원 모두가 신뢰회복 나서야
KBS 노조가 불법녹취의 책임을 물어 정연주 사장에게 자진사퇴 요구서를 전달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출근저지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히면서 불법녹취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노조는 사퇴요구서를 통해 “정 사장이 노무팀 직원에게 직접 녹취를 지시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수집해 온 정보를 계속 받아오지 않았느냐”고 지적하며 불법녹취에 대한 진상규명에 한발 나아가 도덕적인 결단을 촉구하고 나서면서 이번 사건이 쉽게 마무리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그러나 불법녹취 사실에 강한 분노를 표시했던 KBS 구성원들이나 언론·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