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홍씨와 강철원 직무대행
이명박 대통령의 언론담당 특보를 지냈던 구본홍씨가 YTN 사장에 임명되면서 촉발된 YTN의 공정방송 투쟁이 어느새 넉 달을 넘겼다. 하지만 노사 양측 모두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막다른 길로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 추세라면 YTN 사태는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의 역사에 새로운 기록을 숱하게 남길 것으로 보인다. 사실 1백20일 넘게 단일 언론사로서 보기 드문 긴 투쟁을 하면서도 기자들을 비롯한 전 직원이 똘똘 뭉쳐 투쟁의 대오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있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보도국장이 보도국장으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그의 인사권이
노사 ‘아름다운 대타협’ 필요한 때
언론사별 임·단협 협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일부 타결된 곳도 있지만 대부분 신문사, 방송사에서는 노사 간의 입장 차로 쉽지 않은 논의가 진행 중이다.(본보 11월5일자 참고)회사 측의 입장에 대해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금융 위기를 통해 촉발된 뒤 삽시간에 실물 경제 위기로까지 번진 외부 환경의 어려움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심각하다. 자본주의 경제사상 초유의 사태라고까지 일컬어지고 있다. 이런 만큼 개별 회사 차원에서 쉽사리 생존의 비전과 전망, 대책을 내놓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하지만 이것이 기자 등 언론
‘언론기관’이 언론특보 자리 주는 곳인가
이몽룡 스카이라이프 사장, 양휘부 한국방송광고공사(코바코) 사장, 정국록 아리랑TV 사장, 구본홍 YTN 사장, 김인규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회장, 임은순 신문유통원 원장, 최규철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내정)….대선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를 도왔던 언론특보 출신들이 줄줄이 한자리씩 꿰차고 있다. 지난해 10월 꾸려진 이명박 대선 후보의 언론·방송특보단은 40여명에 이른다. 이 정부 출범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7명이 한자리씩 차지하고 앉았느니, 앞으로 남은 4년여 동안 나머지 특보출신들도 모두 한자리씩
쌀직불금 수령 언론인 스스로 밝혀야
잊을 만하면 헤드라인에 등장하는 단골이 ‘판도라의 상자’다.이번엔 쌀직불금 부당 수령자 리스트를 담고 등장했다. ‘리스트’란 말에는 이미 엿보기 욕망을 자극하는 속성이 있는 터에다, 명단 공개에 따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어서 리스트의 공개 여부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중에는 언론인도 4백63명이나 포함돼 있다. 이 판도라의 상자가 조만간 열릴 것처럼 보인다. 여야 3당이 사회 지도층 명단 공개에 합의했기 때문이다. 특히 본보가 강남에 거주하는 2명의 전·현직&nb
불발탄 국감…언론장악 음모 국정조사를
공자는 경제(足食), 군사(足兵) 그리고 백성들의 신뢰(民信之)가 정치의 근본이라고 했다. 또한 백성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나라가 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민의를 거슬러서는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없다는 역설이기도 하다. 의회정치의 꽃이라고 하는 국정감사 취지 중 하나가 ‘국민의 알 권리 충족’이라는 것만 봐도 정치의 근본이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연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방송장악 음모와 언론탄압 의혹에 대해 이번 국정감사는 국민의 신뢰를 외면하는 불발탄을 연발하고
구본홍 사장은 깨끗이 물러나라
YTN 사태가 어느덧 90일이 다 돼가는 시점에서 구본홍 사장에 대한 안팎의 사퇴 압력이 거세다. 언론계 바깥에서도 웬만큼 언론에 관심이 있는 층은 작금의 YTN 사태에 대해 물어보곤 한다. 어떻게 될 것 같으냐고. 또 MB 정권이 왠지 80년대로 되돌아가는 것 같다고 얘기하기도 한다. 답은 이미 나와 있다. 구본홍 사장은 그간의 사태에 대해 깨끗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 최소한 언론계 선배라면 무슨 낯으로 후배들을 대할 수 있겠는가. 현직 기자를 포함해 6명이나 해고하고서도 낙하산 출신이 언론사 사장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는…
국정감사에서 파헤쳐야 할 것들
18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시작됐다. 이번 국감 최대의 ‘화약고’는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KBS, 한국언론재단 등 50여개 기관을 감사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이하 문방위)다.문방위가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이유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언론장악 논란이 거세기 때문이다. 언론계에서는 지난 여름, KBS 정연주 사장 해임, MBC PD수첩에 대한 검찰 수사, YTN 낙하산 사장 논란, 한국언론재단 이사장 등에 대한 퇴진 압력 등 언론장악 시비를 낳은 사건들이 줄줄이 터졌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
남북 언론인 제4차 대표자회의 의의
남북 언론인들이 10월 초 다시 만난다. 벌써 네번째 공식 만남이다. 6·15남측위원회 언론본부와 6·15북측위원회 언론분과위원회는 6일부터 평양에서 닷새 동안 제4차 남북언론인대표자회의를 갖는다. 양측은 2005년부터 매년 정례 대표자회의를 해왔다. 숱한 어려움 속에서 지난 10년 동안 쌓아놓은 남북 간의 신뢰와 당국 최고 책임자간의 공식 합의, 한반도 평화와 화해 분위기, 향후 해결해야 할 남북 공통의 과제 등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모두 부정됐고, 남북 관계는 급격히 냉각됐다.북핵, 북 미사일 실험
‘KBS 인사’ 누구를 위한 것인가
“대학살, 보복, 폭거….” 지난 주 전격 단행된 KBS 사원 인사를 두고 언론계 안팎에선 차마 입에 담기 힘든 말들이 쏟아지고 있다. 살육이 난무하는 전장에나 어울릴 법한 단어들이 의미하듯 유혈이 낭자한 이번 인사엔 이미 악취가 진동하고 있다. ‘정치권력의 방송장악’이라는 탐욕과 허상으로 가득한 역겨운 냄새 말이다. 정권이 바뀐 지 6개월 만에 신뢰도 1위, 영향력 1위의 KBS는 현 정부에 의해 요동쳤다. 마치 ‘전리품’으로 접수한 양 모든 합리적 의사
KBS의 젊은 그대들에게 찬사를 보낸다
‘역시 별수 없다’고 생각했다. 웬만한 삼척동자까지도 정권이 바뀌니 KBS도 당연히 ‘땡이(李)뉴스’가 판치는 곳이 되겠구나 했다. 그러나 그것이 끝은 아니었다. KBS에는 ‘젊은 그들’이 있었다. 고목나무가 넘어져도 그루터기 새싹들은 움을 틔웠다. KBS는 정연주 전 사장 체제 아래서 날선 정부비판의 선봉에 서서 이명박 정부를 곤혹스럽게 했다. 정부는 정 전 사장을 전례없이 검찰과 감사원까지 동원해가며 억지로 몰아냈다. KBS 사장 선임을 논의한답시고 베이징 올림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