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향해 초심으로 복귀…‘자부심 주는 언론’ 되겠다”
‘깊이있는 진보언론’의 등장이었다. 스페셜리스트들의 장문 심층 인터뷰, 현안에 대한 거시적인 분석,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 등으로 21세기의 들머리에 탄생을 알린 프레시안은 한국 언론계에 신선한 충격을 일으켰다. 황우석 사태를 비롯한 우리 사회 혼돈의 현장에서 이 청년 진보언론은 ‘작지만 멀리 비추는 등대’였다. 그 프레시안이 또다른 실험에 돌입했다. ‘협동조합 프레시안’의 출범이 그것이다. 창간의 산파 중 한 사람이었던 박인규 프레시안 협동조합 이
‘수험생’처럼 공부하며 쓴 강력 범죄의 산 기록
지난 2011년 서울신문에서 인기리에 연재된 법과학 리포트 ‘범죄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가 ‘과학수사로 보는 범죄의 흔적’이란 제목의 책으로 출간됐다. 이 책은 수년간 굵직한 사건 현장을 누빈 13년차 베테랑 기자가 생생한 경험과 법의학자, 일선 형사들의 자문, 치밀한 수사기록 분석을 바탕으로 쓴 과학수사 이야기다. 연재 당시 뜨거운 반응을 일으키며 인터넷 상에서 누적 조회 수 4000만 건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책은 마치 추리소설을 보는 것처럼 술술 읽힌다. 택시 바퀴에 튄 흙
“장윤정씨에게 사과…그러나 밋밋한 방송은 싫다”
장씨 ‘힐링캠프’ 발언후 반론 차원 섭외“가족 사이 멀게 한 듯해 반성·사과한다”생방송 어려움 많지만 편집은 왜곡 우려채널A ‘박종진의 쾌도난마’(쾌도난마)는 언론계에서 ‘문제적 프로그램’으로 손꼽힌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법정 제재 4회, 지난해 선거방송심의위원회 활동기간 동안 6회(법정제재 5회, 행정지도 1회) 등 총 10회의 제재를 받았다. 박종진 앵커는 “내가 쓰는 언어는 터프하고 정제하지 않은 언어”라고…
‘사각의 링’ 자신과의 싸움에 도전하다
“복싱의 신비함이란 어떤 고통이 와도 참고 견딘다는 것이다.”권투의 매력에 빠져 사각 링 위에 올라선 기자들이 있다. 지난 5월 현직기자로서 처음 프로복서 라이선스를 획득한 머니투데이 강경래 기자와 두달만에 15kg를 감량하고 복서가 된 매일경제 김대영 기자다. 이들은 권투라는 출발선에서 ‘자신과의 싸움’을 당당히 이겨냈다.현직 기자 첫 프로복서인 강경래 기자는 지난달 24일 한국권투위원회(KBC)가 주관하는 프로테스트에서 심판 전원일치로 프로 라이선스를 따냈다. 자신보다 13살이 젊은 선
“미디어산업 혁신 경험 공유하겠다”
“유료화가 신문 산업의 생존 문제에 대한 해답이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살아남기 위해서 반드시 추진해야 할 과제인 것은 분명하다.”토마스 브루너가드 세계신문협회(WAN-IFRA) 신임 회장은 5일 태국 방콕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다양한 매체·시장·지역 상황에 따라 어떤 콘텐츠를 어떻게 유료화할지 결정해 여러 가지 수익모델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부르너가드 회장은 스웨덴에서 두 번째로 큰 스탐펜 그룹의 최고경영자(CEO)로 현재 25개 신문과 30여
직원 3명으로 시작…100억원 매출 중견 언론사로
헬스조선 임호준 대표는 기자들의 ‘인생 이모작’ 모범사례로 손꼽힌다. 직원 3명으로 2006년 창간한 헬스조선은 이제 매출 100억원대 직원 수 70여명에 달하는 기업으로 우뚝 성장하며 신문의 신규 수익구조 창출의 대표적인 모델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임 대표는 지난 1991년 조선일보에 입사해 1995년부터 건강-의학전문기자로 일하다 2006년 헬스조선을 창간하면서 자리를 옮겼다. 만 7년5개월째 대표로 일하고 있다. 헬스조선 창간은 수익다각화와 더불어 임 대표 본인의 도전 차원에서 시작됐다. “
“분열과 대립 끝내는 통합의 역사를 위해”
1986년 대학에 입학했을 때 세상은 그가 몰랐던 역사로 가득했다. 학우들의 분신자살사건을 두 눈으로 목격하고, 핏빛으로 물든 5월 광주를 보며 역사에 절망했다. 단일 사건으로는 건국 이래 최대인 1288명이 구속된 ‘10·28 건대 항쟁’에도 연루돼 의정부교도소에 수감됐다. 대학생활과 사회부 기자 초년병 시절 그의 머릿속에는 이런 실존적 고민이 지배했다. 그런 그에게 1991년 김지하 시인의 ‘죽음의 굿판을 걷어 치워라’라는 외침은 생소함을 넘어 “이해불가&rdqu
“기자 사명에 큰 책임감…사회고발 보도가 꿈”
처음 기자가 되겠다고 했을 때 세간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한번 튀어 보려고 조선일보 시험 보냐”는 비아냥거림도 들었다. 소속사에서조차 그의 도전을 말릴 정도였다. 그러나 그의 가슴 속에 ‘기자 조정린’에 대한 꿈은 서서히 자라나고 있었다. 조선일보 필기시험 탈락, 이후 TV조선 인턴기자 2개월, 그리고 지난해 9월 TV조선 수습공채 기자 입사로 결국 꿈은 이루어졌다.그는 제법 촉망받는 연예인이었다. 조 기자는 2002년 ‘팔도모창가수왕’으로 연예계에 데뷔해 MBC…
“언론 역사는 언론인들의 정신적 지주”
“나는 죽을지라도 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동포를 구하라.”37살의 영국인 배설은 머나먼 이국땅에서 짧은 생을 마치며 이 한마디를 남겼다. 마지막 유언을 통해 그가 왜 한국에서 신문을, 구한말 항일언론으로 일컬어지는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일제 치하라는 엄혹한 시절에 ‘신문’이야말로 한국을 구할 수 있다는 유일한 매체라는 외침이다.한국 언론역사 연구의 대표 학자로 꼽히는 정진석 한국외대 명예교수가 ‘대한매일신보와 배설’을 출간했다. 지난 1987년 발간
“일방적 리드도, 지나친 의존도 하지 않겠다”
영화 ‘여인의 향기’의 명장면을 떠올려보자. 자살을 결심한 맹인 퇴역 장교 프랭크 슬레드(알 파치노)는 묘령의 여인 도나(가브리엘 앤워)와 탱고를 춘다. 부드러운 현악의 선율에 남녀가 손을 맞대고 서로 밀고 당기는 스텝과 회전은 상대에 대한 신뢰와 호흡, 그리고 믿음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동아일보 첫 여성 노조위원장인 이지은 기자는 ‘두 개의 심장과 세 다리로 추는 춤’이라는 표현으로 출사표를 던졌다.“탱고는 언뜻 보면 남녀가 알파벳 A처럼 서로 기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