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협회 언론자유 강령을 되새기며
49년 전인 1964년 8월 2일. 박정희 대통령의 공화당이 일요일 밤에 국회를 열어 ‘언론윤리위원회법’을 통과시키던 날은 공교롭게도 미국의 베트남 전쟁 본격 개입의 빌미를 만들었던 통킹만 사건이 벌어진 날이기도 하다.그로부터 7년 후인 1971년 6월.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가 ‘통킹만 사건은 북베트남의 도발이 아니라 확전을 노린 미국의 조작사건’이라는 극비문서(펜타곤 문서)를 잇따라 보도하면서 전쟁의 진실이 세상에 알려졌다. 곧바로 미국 행정부가 소송을 걸었다. 1심에선 보도 정지 판
MBC, 얼마나 더 망가질 것인가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지역방송이 아시아나 항공기 착륙 사고와 관련된 여객기 조종사들의 이름을 왜곡, 비하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가 되자 이 지역방송사는 사과방송은 물론, 내부 조사를 벌여 최소 3명의 담당 PD를 해고했다. 풍자와 독설이 광범위하게 허용되는 미국 방송에서 무더기 해고는 좀 심하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진지한 뉴스 선택과 사실의 엄중함, 인권보호를 철칙으로 삼는 미국 언론의 자세를 엿볼 수 있다. 지난 6월 서울 MBC는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이 변호사를 겸직하며 특혜를 누리고 있다는 &lsqu
‘언론판 4대강’ 불법사찰 진실 밝혀야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국민에게 약속한 대운하 포기가 거짓말이었다는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가 충격을 주고 있다. 여권 일부에서는 같은 사안에 대한 감사가 정권이 바뀌었다고 이렇게 달라질 수 있냐며 감사원을 비판하고 있다. 감사원은 이명박 정부 시절 4대강 사업에 대해 벌인 감사 결과 별 문제가 없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에 잘못했다고 해서 지금도 잘못을 덮고 있는 것보다는 낫다. 뒤늦게라도 진실을 밝혀낼 수 있다면 과오에 대한 만회가 될 것이다. 다만 정권에 따라 좌충우돌하는 구태를 극복하기 위한 감사원의 실질적 독립
멈출 수 없는 진실의 기관차, 한국일보
한국일보 편집국 폐쇄가 24일 만에 풀렸다. 법원은 8일 한국일보 비상대책위원회가 낸 편집국 폐쇄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서 한국일보 편집국 폐쇄와 기사 작성 아이디를 삭제한 것은 불법 직장폐쇄이며 ‘언론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헌법적 요청에 반하는 조치’라고 규정했다. 기자들에 대한 근로제공확약서 요구는 기자들의 양심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법원은 또 장재구 회장의 하종오 편집국장 직무대행 임명도 부당하며, 이영성 전 한국일보 편집국장이 한국일보 사측을 상대로 낸 인사명령정지 가처분 신청에서도
박근혜 정부 120일, 언론계는 방치됐다
박근혜 정부의 출범 당시 국민의 기대는 적지 않았다. 언론도 논조와 이념을 떠나 새 정부의 성공을 기원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언론자유를 위협하는 불행한 사건이 많았던 언론계는 특히 그랬다.새 정부 출범 120일이 지난 지금, 과연 우리 사회는 올바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 민주주의의 보루인 언론자유의 현실은 나아지고 있는지 의구심을 품지 않을 수 없다.박근혜 대통령은 후보 시절 공영방송의 지배구조 개선을 약속했다. 사실상 유일한 언론 관련 공약이었다. 그러나 진척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여야가 합의했던 방송공정성특위는
‘방송공정성특위’가 명심해야 할 것
폭염과 장맛비를 뚫고 YTN 해직기자들이 보름 넘게 전국순례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언론이 외면하는 전국의 ‘미디어 피폭지’를 기자직에서 쫓겨난 해직기자들이 기자들을 대신해 걸어서 방문하고 있다. 해직 5년. 누군가의 아들이자 한 가정의 가장인 그들이 겪었을 생활인의 고통을 가늠해보기조차 미안하지만 그들은 빗속에서 공정방송을 외치고 있다.같은 시각, 한국일보에선 편집국 폐쇄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파업 중이던 MBC에서 사측의 보도국 봉쇄가 있었던 적이 있긴 하지만 쟁의도 없는 곳에서 사측의 편집국
한국일보 기자들에게 펜을 허하라
대한민국 언론 사상 초유로 벌어진 한국일보 편집국 폐쇄 조치는 사측과 일부 언론에 의해 ‘노사갈등’으로 비춰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질을 왜곡할 수 있는 프레임이다. 한국일보 사태는 경영진의 뿌리깊은 무능과 범죄 혐의에 대한 절대다수 기자들의 저항이기 때문이다.수년째 계속된 적자 행진에 상습적 임금 체불로 한국일보의 위상은 나날이 추락했다. 장 회장은 회사 회생을 위한 약속을 제대로 지킨 적이 없다. 독자들에게 지면을 통해 공언한 중학동 사옥 이전도 사주의 과오로 거짓말이 돼버렸다. 200억원 배임 혐의는 추
세계가 지켜보는 해직사태
100여개국 60만명 회원이 가입된 전세계 일선 기자들의 최대 조직인 국제기자연맹(IFJ, International Federation of Journalist)이 지난 5~8일(한국 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제28차 세계총회에서 한국의 YTN·MBC 해직언론인들의 즉각 복직을 촉구하는 긴급 결의문을 채택했다.IFJ는 결의문에서 몇 년째 미해결 상태인 YTN과 MBC의 언론인 해직사태에 우려를 표시하며 “이명박 정부의 책임자들은 언론자유 탄압에 대해 사과하고, 박근혜 정부는 공정보도 회복을 위해 긴급한
‘언론사찰과 한국일보’ 철저한 수사를
검찰이 이명박 정부 시절 정치검찰로 전락했던 불명예를 씻으려 하고 있다.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을 비롯해 4대강, 전두환 추징금 등 대형 이슈에 정면 대응해 오랜만에 서초동 검찰청사에 핏기가 도는 요즘이다. 그런 검찰이 주목해야 할 두 가지 장면이 있다. 지난달 24일, 기자들의 카메라를 피해 법원 복도 칸막이 속으로 들어가 벽만 쳐다보고 있는 한 남성의 사진이 화제가 됐다. 질문을 쏟아내는 기자들 앞에서 때 아닌 묵언수행을 한 그는 진경락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이다. 민간인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혐의를 받은 그는…
‘한 인터넷 언론’이 던져준 교훈
해직 언론인이 중심이 돼 만든 인터넷 언론 ‘뉴스타파’가 언론계를 뒤흔들고 있다. 지난주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 공동으로 해외 조세피난처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한 이수영 전 경총회장 등 재계 총수 일가 명단을 공개한 데 이어 지난 27일 최은영 한진해운 회장 등 재벌 총수와 대기업 전직 임원 명단을 추가로 공개했다. 이들은 모두 세금 회피 목적으로 재산을 해외로 빼돌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는 “2000달러가 넘는 등록비와 매년 500~600달러의 갱신비를 부담하며 굳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