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트윗 오보, ‘보은 인사’가 본질이다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말폭탄을 쏟아내면서 군사 행동을 불사하겠다는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 유엔총회에 참석했던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귀국하기 전 “미국이 선전포고를 했다”며 자위적 대응에 대한 가능성을 내비쳤다. 미국과 북한이 주고받는 말만 보면 양국은 이미 전쟁 중이나 다름없다.이러한 상황에서 국가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가 지난 17일 오후 11시쯤 외교관계에 혼선을 일으킬 엄청난 오보를 냈다. 연합뉴스 워싱턴 특파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트
MB국정원에 협조한 MBC·KBS 내부자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문화예술계 인사 블랙리스트’ 작성에 이어 MBC와 KBS 장악을 기획한 문건이 공개됐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는 18일 원세훈 전 원장 재임 당시 국정원이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KBS 조직개편 이후 인적쇄신 방안’ 등 2건의 문건을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 문건에 따르면 국정원은 기자와 PD의 성향을 사찰해 ‘좌파’로 낙인찍고, 정부에 비판적인 프로그램을 폐지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공작을 펼쳤다. 국정원이 국가안전보장 업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방송장악…
공영방송 이사회 언제까지 방기할 것인가
지난 주 4시간에 걸쳐 마라톤 회의를 한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의 결론은 세 가지였다. 첫째, 2016 MBC 경영평가 보고서를 폐기했다. 둘째, 파업 상황에 대해 MBC 임원들의 보고를 청취하지 않기로 했다. 셋째, 김장겸 사장을 방문진에 출석시키지 않기로 했다. 세상에 무슨 이런 관리 감독기구가 있는가. 2016 MBC 경영평가 보고서에는 국민 세금인 방문진 예산 6000여만원이 들어갔다. 그런데 구 여권 이사들은 보고서 내용에 동의할 수 없다며 채택을 차일피일 미루다 결국 수적 우위를 앞세워 표결로 폐기했다. “MBC의 방송통신
MBC·KBS 총파업, 공영방송 독립으로 이어져야
MBC와 KBS가 4일부터 ‘공영방송 정상화’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들어갔다. 두 공영방송이 동시에 일손을 놓은 건 2012년 이후 5년 만이다. 전국언론노조 KBS·MBC본부에 따르면 첫날 파업에 참여한 조합원들은 4000명에 육박한다.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한 급박한 안보 위기 상황이지만, 이들이 일제히 마이크와 카메라와 펜을 내려놓고 거리로 나선 건 그만큼 상황이 절박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정치 파업’이라는 사측과 보수 진영 일각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는 두 방송이 처한 현실이 더 이상 추락하기 어려
KBS를 국민의 품으로 되돌려야 한다
“내가, KBS다. 우리가 KBS다. 국민의 KBS다.” 공정방송을 되찾기 위한 기자들의 외침이 거세다. MBC에 이어 KBS 기자들도 제작거부에 들어갔다. 지난 28일 0시, KBS 기자들은 ‘나는 뉴스 제작을 거부한다’는 문구가 적힌 종이 한 장을 책상위에 올려둔 채 회사를 나섰다. 그렇게 KBS 기자 470명이 공정방송 쟁취를 위한 투쟁의 길로 들어섰다. 국민의 수신료로 만들어진, 그래서 시청자가 주인인 KBS를 다시 국민의 품으로 되돌리겠다는 기자들의 처절한 투쟁이 또 시작됐다. 2014년 6월, 이명박-박근혜 정권에 유리한
공영방송 정상화 위해 고영주 해임 결단해야
고영주씨는 MBC 노조의 ‘170일 장기파업’ 종료 직후인 2012년 9월 방송문화진흥회 감사로 취임하면서 방문진과의 악연을 시작했다. 그 직후인 2013년 1월 그는 공개 석상에서 “저는 (부림 사건을 변호한) 문재인 후보도 공산주의자이고, 이 사람이 대통령이 되면 우리나라가 적화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확신했다”라는 발언을 했다. 군사정권 시절의 대표적인 용공 조작 사건의 당사자로서 참회하진 못할망정 당시 사건의 변호인을 공산주의자라고 몰아붙인 것이다. 검찰은 최근 고 이사장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했다.그의…
기자들 제작거부, MBC 정상화로 이어져야
1964년 8월 선배기자들은 “정의와 책임에 바탕을 둔 우리들의 단결된 힘은 어떠한 권력, 어떠한 위력에도 굴치 않을 것”을 선언하며 한국기자협회를 창립했다. 2017년 8월 MBC 기자들은 “사회적 흉기로 전락한 MBC 뉴스의 더러운 마이크를 잡지 않는 길이 시청자에 대한 속죄의 시작”이라며 제작거부에 돌입했다. 저널리즘의 가치를 지키는 것은 언론인의 숙명이다. 2012년 MBC 파업은 시민의 편에서 저널리즘을 수행하겠다는 결연한 의지였다. 하지만 ‘해고 10명, 중징계 110명, 유배 157명’의 숫자가 상징하듯이 MBC 저널리
YTN 사장 선임, 적폐세력 농단 안된다
심상치 않은 후폭풍을 의식해서인가. 상식 밖의 심사에 대한 자기비판인가. YTN 사장후보추천위원회(사추위)가 지난달 26일 면접 대상자 4명에 대한 심사가 끝난 뒤 적격자가 없다며 사장을 재공모하겠다고 밝혔다. 사추위가 재공모 절차를 밟기로 한 것은 다행이지만 그렇다고 불공정 심사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누가 보더라도 이번 서류 심사는 특정인을 배제하기 위한 담합의 정황이 짙어 보인다. YTN 노조에 따르면 대주주인 한전KDN, 한국마사회, KGC인삼공사에서 추천한 사추위원 3명이 노 기자에게 0점을 줬다. 경영능력, 공정방
공영방송 정상화는 아직 요원하다
지금 이순간도 MBC 안팎에서는 김장겸 사장 퇴진을 외치는 목소리가 메아리친다. 언론적폐 청산을 위한 첫 걸음이다. MBC는 이명박·박근혜 정부 9년간 공영방송이란 허울 뿐이었다.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권력의 입맛에 맞는 방송을 일삼으며 나팔수로 전락했다. 왜곡·편파 보도 속에 국민의 신뢰는 바닥으로 추락했고, 뉴스데스크는 ‘청와데스크’라는 비아냥을 받아야 했다. 200여명의 기자, PD, 아나운서가 자리에서 쫓겨났다. 바른 목소리를 내는 언론인들에게는 중징계와 해고만이 돌아왔고, 공영방송의 기본 책무조차 다하지 못했다는 자괴감
‘네이버 기자페이지’ 화두를 던지다
기자 브랜드가 언론사 브랜드를 뛰어넘는 시대의 신호탄일까.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지난 5일 ‘기자페이지’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언론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네이버의 과거 뉴스 서비스가 언론사 단위로 제공된 것과 달리 이 페이지는 기자의 수상경력과 소셜미디어 계정 정보를 포함한 ‘개인’을 전면 부각한다. 그가 쓴 기사만 골라 구독하며 ‘응원’할 수도 있다. 2015년 5월 시작된 이 서비스는 현재 54개 언론사 3221명이 참여 중이다.네이버는 이 기자페이지 운영이 활발한 기자들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겠다고 밝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