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함 더 찍는 돈도, 외부기고 원고료도... 기자 자부담시키는 일부 언론사들

수준 이하 업무환경 백태 보니

언론사 일부가 외부기고 원고비를 기자에게 자부담시키는 등 수준 이하의 업무환경을 제공해 구설에 오르고 있다. 대다수가 큰 비용이 들지 않은 사안인 만큼 구성원의 목소리를 반영한, 사측의 즉각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한 인터넷매체에선 외부기고 원고료를 섭외 기자가 지불한다. 관련 규정의 존재 여부조차 내부에 알려져 있지 않다보니 기자가 자신의 취재비 중 일부를 기고자에게 직접 송금하는 일이 ‘룰’로 잡혔다. 다수 언론사에서 취재비는 기자의 월급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지불되는데 해당 비용이 이처럼 쓰이는 것이다. 기고자·매체별 차이는 있지만 원고료는 통상 8000원~1만5000원 안팎의 비용(200자 원고 1매 기준)을 책정해 회사·기관이 지불한다.


매체 A 기자는 “원고를 보낸 다음날 임의로 원고료를 책정해 기고자에게 보냈더니 ‘하루만에 지급되냐’며 놀라더라. 더 일찍 보낼 수도 있었다. 내가 보냈으니까”라며 “취재 시 ‘외부 좋은 글을 받는 게 낫겠다’ 싶을 때가 있지 않나. 회사의 좋은 콘텐츠로 남는 건데 원고료가 없다는 건 언론사답지 않은 거고, 열심히 하려는 소속 기자들 마음도 꺾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기자들이 자비를 들여 명함을 제작하는 사례도 있다. 전국 10대 종합일간지 중 한 곳에선 부서 이동 또는 승진 시 100장 지원하던 명함 수량을 최근 200장으로 늘렸지만 소진 시엔 자비로 구매해야 한다. 지역에선 입사 이래 명함 지원을 받아본 적이 없다는 경우도 많다. 지역 매체 B 기자는 “지난해 말 명함 300장을 추가로 팠는데 새해 인사에서 타 부서로 발령이 났다. 큰 돈 드는 건 아니지만 버리기도 뭐하고 해서 그냥 쓰고 있다”며 “나름 지역 내에선 복지가 괜찮은 편인데도 명함지원을 받은 적은 없다”고 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기자에게 노트북을 제공하지 않은 매체도 있었다. 타 지역 신문사 C 기자는 “노트북을 지원한 지 1~2년 쯤 됐다. 그 전까진 개인 노트북을 업무용으로 쓰게 하거나 회사와 기자가 비용 절반씩을 지불해 컴퓨터를 사도록 했다”며 “부끄러워서 어디 가서 말도 못했다. 군인한테 총을 안 주고 싸우라는 건데 지금 생각해도 참 어이없는 일”이라고 했다. 또 다른 지역 일간지 D 기자는 “2~3년 전 남이 쓰던 노트북을 받아쓰다보니 성능에 문제가 있다. 50만원 가량을 3년에 한 번씩 줘 배터리를 교체토록 하거나 추가 자비를 보태 사도록 하는 식”이라며 “업무와 직결됐지만 작은 영역일수록 회사 의지와 세심함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