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창(네이버)에 검색하면 아재’, ‘밀레니얼 세대는 인스타와 유튜브로 검색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대세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유튜브. 10대와 20대는 물론이고 50~60대 이상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갓튜브’가 머지않아 기존의 포털을 대체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실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12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4.2%가 유튜브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유튜브 앱이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이용자가 77.8%p이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 비율은 더 높아졌다(20대 91.3%, 30대 81.1%, 40대 76.2%, 50대 72.3%, 60대 이상 67.1%). 나머지 16.4%p의 응답자는 유튜브 사용자는 아니지만 SNS나 메신저 등을 통해 타인이 공유한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유튜브 사용자의 39.5%가 ‘거의 매일’ 접속하며, 10명 중 9명(90.7%)은 1주일에 하루 이상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용 방식은 ‘직접 검색어 입력’이 과반인 50.8%를 차지했다.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유형은 음악(뮤직비디오 포함)이 압도적(70.3%)이었고, 뉴스와 시사정보는 35.5%였다. 그 밖에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47.9%), 건강·여행·재테크 등 생활정보(41.4%), TV 예능프로그램(36.9%) 순으로 나타났다.
요즘 밀레니얼 세대들은 검색도 SNS도 유튜브로 한다지만, 아직 유튜브에 대해서는 ‘동영상 플랫폼’(95.1%)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뉴스·정보 플랫폼’이라는 응답은 52.5%, ‘검색엔진’은 40.0%에 그쳤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 역시 여전히 네이버와 같은 포털이 강세(80.9%)였다. 구글형 검색엔진은 12.2%, 유튜브로 대표되는 동영상서비스는 7.0%로 그에 한참 못 미쳤다.
최근 유튜브가 가짜뉴스 유통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데, 실제 이번 조사 응답자의 34.0%가 허위정보나 가짜뉴스라고 판단되는 유튜브 동영상을 보거나 전달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10명 중 7명 이상은 유튜브를 통한 허위정보 유통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언론 및 전문기관의 팩트체크, 법률 제정 등 엄격한 규제책 마련 등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24일 전국의 성인 남녀 1218명을 대상 온라인 설문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