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발위 강화·기금지원 차별화 필요"

[인터뷰] 최종식 기자협회 지방언론활성화 특별위원장


   
 
  ▲ 한국기자협회 최종식 지방언론활성화 특별위원장  
 
“지역신문 지원을 확대해야 할 때지 오히려 축소할 때가 아닙니다.”

최종식(경기일보 사회부장) 기자협회 지방언론활성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미디어법 논란에서 보듯 지역언론 정책의 후퇴를 안타까워했다.

그는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엔 지역균형 발전과 함께 지역언론의 역할이 중요하게 평가됐고 이에 대한 지원 및 제도적 정비들이 정부차원에서 진행됐다”며 “하지만 이번 정부 들어 지역의 특수성은 배제되고 시장논리만 있다”고 개탄했다.

특히 최근 미디어법이 거대신문사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지역신문은 소외돼 지역언론인들의 허탈감과 반발이 심하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현재도 소위 전국지들이 수도권판, 지역판을 만들어 지역신문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했던 부분을 지속적으로 파고들고 있다”며 “중앙지들이 지역권력 견제역할 등 지역신문 특유의 강점을 약화시키고 있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유지 및 강화, 지역신문발전기금 확대 등이 지역여론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지발위에 별도 사무국을 두어 체계적인 지원과 평가가 있어야 한다는 게 지역언론인들의 바람이고 폐지 등 그 반대로 가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그는 지발위 기금이 지역언론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이비 언론은 지역 언론인들에게도 큰 골칫거리. 이런 상황에서 차별화된 지발위 기금 지원은 ‘언론다운 언론’을 살리는데 그 역할을 한다는 얘기다.

그는 “언론의 자질을 철저히 조사하고 검증해 지발위 기금 지원을 강화하고 차별해야 한다”며 “기금을 받거나 안받거나 별 차이가 없다면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에서 지급되는 광고의 일종인 ‘정부 공고’ 역시 지발위가 신문사의 질을 평가해 지발위에서 선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