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3월 취임한 아시아경제 임관호 편집국장은 취임 일성을 통해 온라인부문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아시아경제는 2006년 6월 ‘통합 창간’ 이후 석간 전환 등 다양한 시도로 적잖은 성과를 이뤘지만 콘텐츠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15일 통합 창간 3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임 국장의 각오는 남다르다.
임 국장은 “기사 꼭지수는 물론 질에서도 앞서는 신문을 만들겠다”며 “젊은 기자들이 많다는 점을 십분 활용해 차별화된 기획과 아이디어를 적극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아시아경제는 마니아층을 겨냥한 꽃예술&조경, 무대 속으로, 군사이야기, 공포 완행열차 등 13개 분야의 ‘마니아코너’를 마련, 부서와 상관없이 기자 개개인의 관심분야에서 다양한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또 이달 말 사이트 개편을 통해 온라인 강화 의지를 표명할 계획이다.
그는 “아침에 눈을 뜨면 달려가 일하고 싶은 편집국 문화를 만들면서 질타와 질시가 판치는 분위기보다는 ‘함께 뛰자’는 분위기를 조성해 갈 것”이라면서 “아울러 언제나 변함없는 안정적인 시스템화를 통해 어떤 위기와 어떤 변화에도 흔들림 없이 항상 성과를 낼 수 있는 그런 조직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아시아경제는 오는 12월에 ‘충무로 시대’를 열게 된다.
이를 통해 광주 소재 광남일보를 제외한 아시아경제, 이코노믹리뷰, 스투닷컴, 10아시아 등 아시아미디어그룹 산하 계열사를 한 곳으로 통합, 새로운 도약을 할 예정이다.
그는 “오는 12월이면 충무로에 신축 중인 ‘아시아미디어타워’사옥 이전하게 되고 이에 맞춰 조직 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라며 “아시아미디어그룹의 변화와 발전을 확인하고 선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 국장은 1989년 서울경제신문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한 뒤 파이낸셜뉴스 산업부장 유통부장을 거쳐 아시아경제 산업부장 등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