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과 YTN 위한 길, 구 사장 본인이 알 것"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 서면 인터뷰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이 지난 5일 당내 최고위원 중진연석회의에서 YTN 사태에 대해 “올해를 넘겨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남 의원과 10일 서면 인터뷰를 했다. 그는 “여당 내에서도 YTN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라며 “YTN 사태는 일반 기업의 노사분규가 아닌 언론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지난 5일 한나라당 최고위원 중진연석회의에서 홍준표 대표와 YTN 문제를 놓고 어색한 상황이 연출됐다. 앞으로도 계속 같은 주장을 제기할 예정인가.




   
   
어색했다기보다 생산적 논쟁을 했다고 본다. 민주정당이라면 당연히 보여져야 하는 모습이다. YTN 문제에 대한 제 판단과 주장엔 변함없으며 정당하다고 본다. 당 지도부에 충분히 의사전달이 됐을 것으로 본다.


-중진회의에서 “특히 올해를 넘기면 안 된다”고 했다. 시점을 강조한 이유는.


일단 파국이 너무 장기화됐다. 사태 수습 후 회사 내 노사 간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 금년을 넘겨선 안 된다. 이명박 정부도 내년 초 집권 2기를 맞아 집권 1기의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새로운 분위기에서 새 출발해야 하는데 일반 회사도 아닌, YTN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그 취지가 퇴색될 것이다.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YTN 사태의) 해결법은 어느 정도 답이 나와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한 바 있다. 답이란 구본홍 사장의 사퇴를 의미하는 것인가.


YTN 사태는 일반 기업의 노사 분규가 아니라 언론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분명 구본홍 사장의 진퇴문제까지 포함돼야 한다. 노사 양측 모두 극단적 입장을 고수하면 사태 해결은 요원하다.


-언론시민단체와 YTN 노조는 구 사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 사장 본인과 회사의 미래를 위해서 무엇이 옳은 길인지, 구 사장이 제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정부 여당 기류가 YTN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YTN 사태를 하루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는 데에는 정부와 여당 내 적지 않은 분들이 동감하고 동감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해법이 문제다.


-이명박 대통령도 YTN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보는가.


개별 언론사 문제에 개입하는 것은 부담을 갖고 계시겠지만 대통령께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또 고민하고 있을 것으로 본다.


-구 사장은 6명을 해고 하는 등 33명을 중징계 했다. 조치가 적절했다고 보는가.


대화와 타협을 통한 합리적 해결에 앞서 성급한 징계 조치를 취했다. 사태를 악화시키고 장기화시켰다는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았다. 원점으로 돌아가 근본적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이유다.
곽선미 기자 gsm@journalist.or.kr

맨 위로
관련기사
- YTN 기자 해고 비판 한목소리 (2008/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