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YTN 사태 장기화 한 목소리 '우려'

여·야 문방위 의원 15명이 밝힌 YTN 해법


YTN 문제가 석 달이 넘도록 해결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사태는 난국으로 치닫고 있다. 최근 들어 정치권 일각에서 구본홍 사장의 사퇴 논의가 적극 제기되고 있으나 여야 간 팽팽한 의견 대립 속에 YTN 문제는 여전히 표류하고 있다. 
이에 본보는 지난 7일부터 5일간 고흥길 위원장을 비롯해 국회 문방위 소속 28명의 의원 전원에게 △YTN 노조와 언론계의 구본홍 사장 퇴진 주장 △구본홍 사장이 33명을 징계한 데 대한 생각 △YTN 사태의 해법 등을 물었다. 이들 중 15명의 의원들이 답을 보내왔다. 나머지 위원들은 개인적인 입장을 표명하기 곤란하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한나라당 의원도 기자징계 비판, 새 사장 후보 추천위 구성후 선출 주장도…


△ 한나라당




   
구본철=YTN 사태의 옳고 그름을 떠나 YTN은 정부의 산하 기관이 아니다. 정치권이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YTN 사태를 정치 공방 차원에서 다루는 것도 옳지 않다. YTN 내부에서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정현=사장 퇴진 등 (노조가) 일방적인 주장만 거듭한다면 사태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일도양단은 사태를 장기화시킬 뿐이다. 사측이 아무리 적법한 절차를 밟았어도 기자 해고 자체는 절대 반대다. 좀 더 설득하고 합리적 방법을 찾아야 했다.
양측 모두 최악은 피해야 한다. YTN을 사랑하고 YTN 기자의 열정을 알고 있다. YTN이 뉴스 전문채널로서 기여한 점에 대해선 충분히 공감한다. 그러나 정부가 나서면 개입 시비를 부른다. 당사자들이 해결할 수 없다면 여야가 문방위 차원에서 소위원회를 꾸려 객관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노사 양측의 양보를 도출해 조기에 타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진성호=
YTN 구본홍 사장의 퇴진 여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인사 문제에 대한 간섭일 수 있다. 내부적으로 해결할 문제라고 본다. 다만 사원 6명의 해고 등 33명을 중징계한 것은 과다한 징계라고 생각한다. 해당 조합원들이 일부 잘못한 것도 있으나 한 일에 비해 과잉 징계다. YTN 사태의 해결을 위해 정부·여당이 나설 문제는 아니다. 여권이 나서면 더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방송·언론 장악 시비를 부를 수도 있다. 노사 합의로 풀 문제다.



   
한선교=
YTN은 공공기관이 아니고 정부의 예산도 투입되지 않은 민간 기업이다. 그 때문에 이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국정감사에서도 언급했듯 이대로 가면 (양측) 모두가 공멸할 수 있다. 노조위원장이나 사장 모두 징계 등의 상황을 초래하긴 했어도 조정할 수 있는 여지와 방법은 있을 것이다. 최악의 상황이 아닌 합리적 결과를 가져오도록 지속적 대화가 필요하다.



   
홍사덕=
YTN 노조와 언론계의 구본홍 사장 퇴진 주장은 잘못됐다. 그러나 구 사장이 기자 6명을 해고한 것도 잘못된 일이다. YTN 사태는 (노조가) 구본홍 사장의 취임을 수락하는 바탕 위에서 풀어야 한다.




△ 민주당 국회의원



   
서갑원=사태의 원인 제공은 정권에 있다. 이명박 정권은 KBS 문제, MBC PD수첩 문제, YTN 낙하산 인사 등 그동안 끊임없이 언론장악의 음모를 드러냈다.
특히 구본홍씨가 내정된 이후 청와대 박선규 언론2비서관과 만나 사전 조율한 사실이 밝혀졌고 최시중 방통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신재민 제2차관 등의 발언에서 정권 차원의 YTN 장악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구본홍씨는 물리력을 동원한 불법적 주주총회를 통해 선임된 이후 33명을 보복 징계했다. 구씨는 언론사 사장으로서의 자질과 자격을 갖추지 못했고 YTN 사태를 해결하려는 의지도 없었다. YTN의 정상화를 위해선 구씨가 조속히 퇴진하는 것이 마땅하다. YTN 노조의 투쟁은 스스로 중립성과 공공성을 지키려는 언론인의 권리이자 의무다.



   
이종걸=
언론계의 구 사장 퇴진 주장을 적극 지지한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전리품 챙기듯 (대통령) 선거캠프의 언론특보 출신이 독립 언론 YTN에 낙하산 사장으로 임명되는 것은 통탄스러운 일이다.
민주정부 10년 동안 이뤄낸 민주주의와 언론자유가 정치권력의 변화에 따라 흔들려선 안 된다. 언론은 권력의 타협대상도 억압대상도 아니다. 정권이 언론을 사유화하려 한다면 오래지 않아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YTN 기자들의 징계는 80년대 전두환 정권 시절 자행됐던 언론인 강제해직 이후 최대 규모의 언론탄압이다. 구본홍 사장과 이명박 정권은 당장 대국민 석고대죄를 해야 한다. YTN을 수호하기 위한 노조의 희생과 노력은 참 언론이 지향해야 할 진정한 가치다.
해법은 단 하나다. 구 사장의 사퇴다. 기자들에 대한 중징계를 철회하고 대국민 사과도 해야 한다.



   
변재일=
방송은 제작자가 프로그램을 제작·편성해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형태로 그 영향력은 대단하다. 그렇기에 어느 매체보다 공공성과 독립성, 다양성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유일의 보도전문채널인 YTN의 가치는 더더욱 소중하다.
그럼에도 정부는 시대를 역행해 언론을 장악하고자 대통령의 특보를 YTN 사장으로 임명했다. 이런 코드인사는 YTN 노조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인정할 수 없다.
자신과 뜻이 맞지 않는다고 해서 선장이 배의 선원을 버리진 않는다. 구 사장은 그러나 소신있고 유능한 인재를 부당 해고·징계했다. 사원들을 포용하기는커녕, 다양한 목소리를 차단하고 배척했다. 사장으로서 자격이 없다.
YTN 사태는 젊은 방송인들이 대한민국 방송의 앞날을 걱정하고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숭고한 투쟁이다. 정부는 방송을 장악하려는 시도를 당장 중지하고 YTN 정상화에 힘써야 한다. 구 사장도 스스로 자격이 없음을 인정하고 물러나야 한다.



   
장세환=
국민의 대다수도 구본홍 사장의 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9월28일 본 의원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L)에 의뢰해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 60.7%가 구 사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YTN 기자들에 대한 징계는 5공 이후 최대의 언론인 탄압이다. 불법적 절차를 통해 취임한 사장이 저지른 부당한 인사이므로 당연히 취소돼야 하며 원상복귀돼야 한다.
구본홍 사장 사퇴와 더불어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재발방지가 선행돼야 한다. YTN 사태는 YTN만의 문제가 아니라 방송 정책 전반에 걸친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전병헌(간사)=
대통령 후보의 언론특보 출신은 정치적 성향을 띨 수밖에 없다. 그런 사람이 방송사 사장으로 임명되는 것 자체가 공정방송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다. 구본홍씨의 임명은 정권의 입맛에 맞는 사장을 앉혀 놓으면 편성과 보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구시대적 발상에 불과하다.
현직 기자를 강제 해고하고 대규모로 징계한 것은 군사 독재 시절에도 흔한 일이 아니었다. 징계는 우리 사회가 피와 땀으로 일궈온 민주주의 역사를 한꺼번에 부정하는 퇴행적 처사다. 정통성 없는 구본홍 체제의 한계와 약점을 스스로 내보인 셈이다.
며칠 전 대정부 질문에서 ‘YTN 사태’를 ‘YTN 공정방송 사수 운동’으로 부르자고 제안했다. 이는 YTN 문제의 본질은 권력의 방송 장악 음모에 대항하는 공정방송 사수 운동이라는 점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자는 의미다. 아울러 YTN 문제를 훗날 역사의 평가에 맡기고 지금 당장 해결하자는 동시대의 양심있는 지성과 국민에 대한 호소다.
권력이 방송을 탐하는 한 YTN 공정방송 사수운동은 앞으로도 ‘현재진행형’이다. 구 사장의 자진 사퇴가 문제 해결의 첫걸음일 수밖에 없다.
얼마 전 과거사 진실위가 70년대 ‘동아일보 해직사건’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물었듯 YTN 문제도 반드시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국회차원에서도 혼신의 노력이 필요하다.



   
조영택=
YTN 사태의 근본 원인은 이명박 정부의 언론특보 출신인 ‘구본홍 낙하산 사장’을 임명한 데에 있다. 자진 사퇴만이 YTN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다.
사원 중징계는 방송의 공공성과 중립성을 지키려는 YTN 직원들의 정당한 요구에 대한 보복행위다. 사원들의 요구를 수렴하고 자신이 자행한 불법적 징계를 취소해야 한다.
낙하산 사장 임명을 기정사실화하려는 어떠한 편법도 반대한다. 위장된 협상논리도 경계한다.



   
천정배=
YTN은 한전자회사, KT&G 등이 최대 주주로 있어서 사실상 공적 방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업의 사장으로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특보를 했던 편향된 인사가 사장으로 임명되는 것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언론은 대선 승리의 전리품이 아니다. 논공행상에 의한 낙하산 인사는 있을 수 없다.
징계는 적반하장이다. 동호직필의 기자정신을 지키려는 YTN 조합원들에 대해 징계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YTN 사태는 순리대로 풀 수밖에 없다. 이명박 정부는 더 이상의 언론장악 의도를 철회하고 구 사장으로 하여금 자진사퇴할 수 있도록 권고해야 한다. 직원 징계도 철회해야 한다. 새 사장은 투명하고 공개된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뽑아야 한다.



   
최문순=
YTN 노조와 언론계의 구 사장 퇴진 요구는 언론의 정치적 중립을 촉구하는 정당한 주장으로 적극 지지하고 있다.
YTN 조합원들이 방송 진행을 중단시키거나 임직원에 상해를 입힌 것도 아닌데 징계를 한 것은 옳지 않다. 특히 이번 징계는 언론 역사상 유례없는 일로 심대한, 나쁜 전례를 만들었다. 구 사장은 징계를 즉각 철회하고 해고된 기자들을 언론 현업으로 복귀시켜야 한다.
구 사장은 대통령의 전 언론특보로서 보도채널 YTN의 정치적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 하루라도 빨리 퇴직하고 YTN 사장의 재선임 절차에 들어가는 것이 옳다.




△ 자유선진당 국회의원



   
김창수=구 사장은 취임 1백일이 지나도록 정상적인 사장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사장으로서 결격사유가 있다고 본다.
사원 33명을 징계한 것은 매우 부당한 조처였다. 즉각 해고를 철회하고 기자들을 현업으로 복귀 시켜야 한다. YTN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정방송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지켜낼 전문성 있는 인사로 재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창조한국당 국회의원



   
이용경=국정감사 등을 통해 공개된 내용을 보면 YTN 사태의 과정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 문방위 차원에서 경영과 해고 관련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직접 YTN으로 가서 살펴보자는 일부 위원들의 의견도 있었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정부 관계자들의 YTN 사태와 관련한 일련의 발언도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해고의 내막 등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사안으로 입장을 밝히긴 곤란하다.
당사자들이 조금씩 양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외부에서 조정할 문제는 아니다.

곽선미·장우성 기자 gsm@journalist.or.kr

맨 위로
관련기사
- YTN 기자 해고 비판 한목소리 (2008/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