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수렴 없는 독선적 결정, 3공화국 기본권 침해 떠올라"
김태홍 의원, 기자사회도 자체개혁 나서야
장우성 기자 jean@journalist.or.kr | 입력
2007.05.30 14:39:25
김태홍 의원(무소속)은 7명의 기자 출신 국회의원들과 함께 23일 정부의 ‘취재지원선진화시스템 방안’을 반대하는 성명을 냈다.
그는 “정부는 의견 수렴 과정도 없이 독재정권 식으로 일 처리를 했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 합동통신, 한겨레 등을 거친 김 의원은 1980년 한국기자협회 제20대 회장을 지내면서 신군부의 언론탄압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현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한미FTA를 연구하는 의원모임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취재지원시스템선진화방안’에 대해 언론계의 반발이 거세다. 이 방안을 어떻게 평가하나
이번 정부 방안의 취지나 본질을 따지기 앞서 추진 방법, 소통의 자세부터 문제가 있다.
정부는 국민과 언론계의 여론을 수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공청회도 갖고, 대화도 나눠야 할 것 아닌가. 하루아침에 발표해버리는 식이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반대하는 농민들의 집회를 인정하지 않았다. 광고까지 막았다. 3공화국 시절 기본권 침해를 떠올리게 했다. 이번 ‘선진화 방안’ 역시 여론 수렴 없이 독선적으로 결정됐다. 노무현 정권의 일 처리가 항상 이런 식이다. 독재정권의 방식이다. 국민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노무현 정부가 뻔히 예상되는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왜 강행했다고 보는가.
한미FTA도 그렇지만 그 속을 알기 힘들다. 노무현 정부는 그동안 일부 언론에 피해를 입었다고 보는 것 같다.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편파성, 출범 뒤의 정책에서의 왜곡 등 편향적인 보도가 있었다고 느끼는 것 같다.
-정부의 추진 계획에는 변함이 없는 것 같다.
정부는 이제라도 대화에 나서야 한다. 언론계는 물론 전문가의 의견도 경청해야 한다. 원점에서부터 다시 논의해야 한다.
-후배 기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기자들이 제 할 일을 하지 못해 정부가 권위를 넘보는 것이다. 자기 소임을 제대로 다하지 않았다. 정부가 일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 한미FTA만 해도 주요 매체들이 광우병 쇠고기 문제를 제대로 알리지 못하고 있다. 기자 사회도 반성하고 공정보도 실현과 자체 개혁에 나서야 한다.
장우성 기자 jea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