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산업 핵심은 콘텐츠 질적 향상"

KBS 송종문 디지털미디어센터장


   
 
  ▲ KBS 송종문 디지털미디어센터장  
 
“뉴미디어의 폭발력은 인정하지만 충분한 검증 장치를 갖추기 전에 전면 개방은 불가능합니다. 공영방송의 정체성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지요.”

KBS 송종문 디지털미디어센터장은 어떤 뉴미디어도 공영방송으로서 KBS의 근본적 정체성을 벗어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KBS의 뉴미디어에 사업에 대한 접근방식은 ‘신중론’ 그 자체다.

KBS의 정체성은 수익성보다는 공공성과 건전성 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뉴미디어 사업과 상충될 수밖에 없다.

그의 말처럼 뉴미디어에 대한 KBS의 전략적 기능은 사실 취약한 편이다.

섣불리 앞서 나가기엔 부담이 따르고 그렇다고 급변하는 매체 환경을 무방비로 바라볼 수 만도 없는 입장이다.

그는 “KBS는 설령 수익이 담보돼지 못한다해도 뉴미디어 서비스에 대해선 그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며 “다만 정부부처의 엄격한 규제가 계속되거나 명확한 방향이 드러나기 전에 뉴미디어 관련 사업 주체로 나서기엔 솔직히 부담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KBS는 IPTV 등 향후 뉴미디어 사업에 주도적 사업자로 참여할 것인지, 다른 사업자와 제휴를 통한 참여 형태를 띨 것인지에 대해 내부 검토중이다.

인프라 구축과 사업활성화는 지상파가 도맡아 하고 여타 사업자들은 시장이 형성되면 무임승차하겠다는 식의 태도를 보인다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송 센터장은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UCC나 IPTV 등 뉴미디어의 구체적 매체 형태는 중요치 않다는 입장이다.

송 센터장은 뉴미디어 산업의 핵심을 콘텐츠의 질적 향상 여부라고 꼽았다.

그는 “3∼4년 내에 콘텐츠의 전자마켓이 형성될 것이며 모든 뉴미디어 산업은 이를 통해 근간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콘텐츠의 고급화를 통해 보다 넓은 시야로 전 세계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는 또 “시청자가 무엇을 요구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기를 원하는 지에 대한 고민, 그런 것들에 우리 뉴미디어 산업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정호윤 기자 jhy@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