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재정립·경제지원 등 제도적 뒷받침 필요"

이길우 한겨레 선임기자


   
 
  ▲ <이길우 한겨레 선임기자>  
 
“선임기자 본인을 비롯해 회사, 데스크 등 상호간 이해와 배려가 제도 정착에 있어 최대 관건입니다.”

한겨레는 언론사 최초로 지난해 5월 ‘부장급 현장 기자제’(현 선임기자제)를 도입, 데스크 등을 지낸 중견 기자 9명을 현장으로 다시 보내는 실험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특히 선임기자제는 기자들의 ‘조로 현상’이 구조조정과 맞물려 주요 화두가 된 가운데 나온 제도이기 때문에 언론계 안팎의 조명을 받았다.

선임기자 가운데 한 명인 이길우 기자(48·스포츠부)는 “기존에도 대기자, 전문기자 등의 제도가 있었지만 무거운 이름만큼 주변에서 기대하는 시선 때문에 취재하기 어려웠다”면서 “그러나 선임기자의 경우 일선 기자들과 똑같이 출입처를 배정받고 취재하기 때문에 기자의 전문성과 경험 등을 부담없이 살릴 수 있는 제도”라고 소개했다.

이 선임기자는 “제도상으로 ‘몸을 가볍게 해주는 제도’이다보니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취재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반면 사내 안팎으로 선임기자라는 직함 때문에 무슨 기사를 쓰더라도 ‘특종’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시선은 선임기자를 지치게 하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회사 안에서의 위상에 대해 그는 “쓰고 싶다고 해서 모든 기사를 쓸 수 없는 것이 선임기자의 위치”라며 “때론 후배 기자들을 위해 취재 및 출장 등을 양보하고 오히려 기회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점들은 후배들이 선임기자를 보라보고 이해하는 척도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 선임기자는 “이런 이유들 때문에 후배 데스크들의 가교 역할과 함께 선임기자에 대한 위상 재정립 및 경제지원 등을 위한 회사 측의 제도적 뒷받침이 중요하다”며 “특히 아직 제도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선임기자의 임기 규정을 비롯해 선임기자의 일에 대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