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감시할 언론내 안전장치 필요"

남창룡 전 세계일보 기자




  남창룡 전 세계일보 기자  
 
  ▲ 남창룡 전 세계일보 기자  
 
“내부 고발자에 대한 보호 없이 기자들에게 사회정의를 바로 세우기만 강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에 안팎의 비리를 감시할 최소한의 안전장치 마련이 기자사회에 시급한 실정입니다.”



전 세계일보 남창룡 기자는 지난해 9월 자사가 시행사로 참여하고 있는 ‘용산 시티파크’와 관련해 특별 분양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가 오히려 해사 행위로 파면됐다.



이후 남 기자는 지난 11월 서울지방노동위원회로부터 ‘원복직 판결’을 받았지만 회사 측이 판결에 불복,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신청이유서를 제출한 상태다.



그는 “회사 공유자산을 특정인들이 개인 명의로 취득한 후 1년 넘게 숨겨온 사건에 대해 편집국 일부 기자들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지적한 뒤 “임원들이 당사자들이다보니 자신들의 치부를 애써 감추려 했다며 이 때문에 사회 부정부패를 견제해야 할 언론이라는 사명은 안중에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남 기자는 이어 “부당한 조치를 받는 일부 기자들이 소송비용뿐 아니라 생계문제로 중도 포기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기자라는 직분을 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장 어떠한 불이익을 받는다하더라도 감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부분 이런 문제들이 2~3년 동안의 지루한 법정공방이 기다리기 때문에 회사를 상대로 한 개인 대응이 결코 쉽지 않은 실정.



그는 “부당 징계 이후 정신적인 고통 외에도 생계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크다”며 “오는 5월 20일을 ‘기자의 날’로 제정한 만큼 이번 기회에 부당해고 기자에 대한 최소한의 생계문제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언론계에서 공식 논의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히기도 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