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 월급은 받을 수 있을까.’ 월급날이 다가올수록 기대보다 불안함이 커진다. 국제신문 부장 이상 간부들이 몇 달째 겪고 있는 일이다. 두 달 이상 월급이 제날짜에 들어오지 않았고, 5월 급여는 예정일보다 25일이나 늦게 입금됐다. 6월 급여일인 25일에도 역시나, 소식이 없다. 아무래도 이번 달 월급도 밀릴 것 같다.
부산지역 양대 신문의 하나인 국제신문에서 임금 체불 사태가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노동조합에 가입되지 않은, ‘비노조원’에 대해서만 급여를 제때 지급하지 않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조에 가입할 수 없는 부장급 이상 간부, 총무부 등 직원은 월급날이 다가오면 속앓이를 해야 한다.
국제신문에서 임금 체불은 비단 최근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 2020년엔 노조(전국언론노동조합 국제신문지부)가 임금 체불과 최저임금법 위반으로 사측과 대주주(재단법인 능인불교선양원)를 같이 고발한 일도 있었다. 여기에 퇴직금 미지급으로 노동청 수사까지 진행 중이다. 열심히 일하고도 그 대가를 제때 못 받는 일이 반복되는 상황. 경영정상화를 위한 대주주의 자금 지원 약속도 번번이 이행되지 않자 노조는 “파국”을 선언하며 전례 없는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언론노조 국제신문지부는 12일 성명을 내고 “능인선원은 대주주라는 지위를 앞세워 국제신문 가족을 우습게 여기고 기망했다. 이런 집단을 상식적으로 응대했던 지난날이 치 떨리게 후회될 뿐”이라며 “더 이상 대화는 없다”고 선언했다. 결정적인 계기는 5월14일 이른바 ‘초파일 합의’ 파기였다. 국제신문지부 조합원 등 80여명은 석가탄신일을 하루 앞둔 이날 서울 개포동 능인선원 앞에서 경영 파탄 책임을 묻는 상경 투쟁을 벌였다. 집회를 전후해 재단 측과 경영정상화 협의가 진행됐고, 재단이 임금 포함 제반 비용의 부족분 지원 등을 약속한 문서에 직인까지 찍으면서 상황은 일단락됐다. 그러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재단 측은 오히려 국제신문에 비용 절감 방안 등 자구 계획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이에 국제신문은 주중 공휴일에 한시적으로 신문 발행을 중단하기로 하고 5월 어린이날 대체휴일(6일)과 석가탄신일(15일)에 이어 6월6일 현충일에도 신문을 찍지 않았다. 그런데도 재단은 자금 지원 없이 “노력 중”이란 답변만 반복했다. 결국, 국제신문은 ‘자체 매출’로 5월 체불 급여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국제신문지부는 지난해 5월 상경 당시에도 능인선원 대표인 지광스님(이정섭)의 친견 약속 등만 믿고 투쟁을 철회했는데, 이번엔 성문화된 합의문마저 지키지 않았다며 이제 매각 투쟁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16일부터 정기법회가 열리는 일요일마다 능인선원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소·고발도 검토 중이다.
재단 역시 매각을 시도하긴 했으나, 진전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추진은 답보 상태고, 대주주는 추가 투자도, 책임 경영도 나 몰라라 하면서 국제신문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국제신문은 2020년부터 4년 동안 사장이 세 번이나 바뀌었다. 지난해 10월 취임한 강남훈 사장은 4월 사임했고, 그 전에도 6개월간 사장 자리는 공석이었다. 심지어 최근 거쳐 간 두 명의 사장은 대표이사도 아니었다. 사장이지만 실권은 없고, 임금피크제 적용까지 받는, ‘직원 사장’이었던 셈이다. 현재 대표이사는 “경영과는 전혀 무관한 할머니 신도”인 윤규황씨로 발행인과 인쇄인을 맡고 있다. 실권자는 진영부 지배인으로 알려졌는데, 그 또한 자신은 “재단의 심부름꾼”이라고 주장한다는 전언이다.
2006년부터 대표이사 회장을 맡아왔던 지광스님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뇌물을 준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2018년 대표이사와 발행인 등에서 사퇴한 뒤 사외이사로만 남아 있다. 현재 국제신문은 법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경영에 책임지는 사람이 없는 ‘기형적 구조’다.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미지급으로 통장은 압류되고, ‘마이너스 통장’까지 한도가 다 찬 지 오래라 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하는데도 임금 체불을 피하기 어려운 형국이다. 반복되는 합의와 약속 파기에도 불구하고 재단의 자금 지원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던 이유이기도 하다.
국제신문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운영을 하려면 돈도 넣고 책임 있게 경영할만한 사람을 앉혀서 구멍이 나면 메우고 조이고 하며 돌아가게 해야 하는데, 지금은 하는 것도 아니고 안 하는 것도 아닌 갑갑한 구조”라고 말했다. 그는 “매각 외에는 답이 없다”면서도 “경기도 안 좋고 재단이 생각하는 매각 대금과 시장의 생각엔 차이가 있는 것 같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