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자 지역MBC, 작년 광고수입 20% 하락

자구책 실행에도 경영 악화일로
"UHD 연기·DMB 폐국" 등 요구

  • 페이스북
  • 트위치

지역MBC 경영 상황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지난해 방송광고수입만 평균 20% 가까이 빠지며 대다수 지역MBC가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매출액 역시 큰 폭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그간 ‘마른 수건 쥐어짜기’ 식의 자구책을 실행하고 있던 지역MBC에선 이제라도 정부가 나서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를 개혁해야 한단 주문이 나온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MBC 대부분은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여수MBC만 유일하게 6억원 흑자를 봤고, 다른 지역MBC들은 많게는 100억원에서 적게는 4억원까지 영업손실을 냈다. 부산MBC와 대구MBC가 각각 102억원, 94억원으로 가장 큰 폭의 영업적자를 냈고, 광주MBC(-29억원), 울산MBC(-28억원), MBC경남(-22억원) 등도 20~30억원 가량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액도 대부분 감소했다. 지난해 16개 지역MBC의 평균 매출액은 149억원으로 2022년도와 비교해 11% 하락했다. 원주MBC(-26.6%), 대전MBC(-23.4%), MBC충북(-22.8%) 등이 큰 폭의 매출액 하락을 기록했고 제주MBC, 여수MBC만 매출이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지역MBC 절반은 흑자를 냈지만 토지 등 부동산 매각 대금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수익의 영향이 컸다. 지역MBC 한 경영 관계자는 “부동산 등 자산 매각은 단기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 근본적인 경영난을 해소할 수는 없다”며 “광고수입이 너무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이대로 가면 향후 10년 안엔 차입 경영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방송광고수입은 가파르게 줄고 있다. 감사보고서를 공시한 13개 지역MBC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광고수입은 평균 94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20% 가까이 줄었다. 전체 매출액에서 광고수입이 차지하는 비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2년만 하더라도 매출액에서 광고수입이 64.9%를 차지했는데, 1년 만에 58.3%까지 하락했고, 절반까지 떨어진 곳도 생겼다. 다른 지역MBC 한 노조위원장은 “방송광고 시장 전체 파이가 줄어들었고, MBC 본사와의 광고료 배분 비율 역시 줄어든 게 사실”이라며 “지역 내에서의 협찬 수익이나 다른 비용 절감으로 메워보려 해도 줄어드는 광고수입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인건비라도 줄이고 있는 상황인데 경쟁력이나 업무 부담을 생각하면 악순환”이라고 말했다.


비상 경영 역시 한계까지 다다른 상황이다. 지역MBC 전략지원단 자료에 따르면 △인원 감축 △방송 외 사업 △부동산 등 자산 매각 △명예퇴직 △의무 안식년 △임금피크제 △임금 삭감 등 사실상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는 다 한 상황이다. 자연감소분을 충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지난 10년간 평균 15% 정도의 인원이 감축됐고, 보도국장 업무추진비 등은 ‘0원’이 된 지 오래다. 부산MBC, 대구MBC, 광주MBC 등은 토지를 매각해 자금을 확보했다.


방송 광고가 좀체 회복되지 않는 상황에서 사업 다각화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대전MBC는 자회사를 통해 지역음식 매장과 식당을 운영하고 있고, 춘천MBC는 태양광발전사업과 편의점 운영사업을 하고 있다. MBC충북은 베이커리와 레스토랑 및 스포츠센터 운영을, MBC강원영동은 커피원두 납품사업을 하고 있다. 이해승 지역MBC 전략지원단장은 “이 추세대로라면 대부분 지역 방송사들이 방송사가 아니라 ‘방송도 하는’ 회사가 될 것”이라며 “그렇다 해도 방송 광고가 줄어드는 만큼의 수익을 사업으로 거둬들이는 건 어려운 일이다. 10% 수익률을 맞춘다 해도 10억원을 벌기 위해선 매출 100억원이 나와야 하고, 그런 사업을 매해 추가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MBC 전반에선 방송통신위원회 등이 나서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를 손질해야 한단 목소리가 거세다. 대표적인 건의가 UHD 구축 일정 연기와 DMB 폐국이다. 수신율은 매우 낮지만 설비투자비와 유지관리비만 수십억원대의 지출이 일어나, 의무가 아닌 선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지역MBC와 방통위 간 생각 차는 크다. 방통위는 1일 방송통신 시장을 활성화한다며 한시적으로 6가지 규제를 유예했다. 지역 방송의 경우 순수외주제작 방송프로그램 편성비율이 완화됐다.


이해승 단장은 “외주 비율 같은 경우 지역사는 서울에서 외주해서 만든 걸 받기만 해도 얼추 채워진다”며 “회사 운영에 아무런 도움도 안 되고 비용 절감도 안 되는 정책이다. 실질적으로 지역 방송사에 필요한 정책들을 너무나 많이 건의했는데, 왜 그런 건 거들떠보지도 않고 외주 편성비율 같은 걸 저기 집어넣는지 답답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