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집권 2년차이자 제22대 총선을 1년 앞둔 올해 언론계엔 언론사 리더십 교체 등 굵직한 변화들이 예고돼 있다. 이런 변화가 현 정부의 언론 대응, 정치권의 총선 준비 움직임과 맞물려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그 과정에서 어떤 진통이나 갈등이 발생할지 주목된다.
먼저 1~2월 중에는 공영방송사인 TBS와 MBC 차기 사장 선임이 예정돼 있다. TBS는 지난달 29일까지 대표이사 후보자 공모를 진행했는데, 아직 후보자 면면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TBS 대표이사 임기는 규정상 3년이지만, 당장 내년 1월1일부터 서울시의 예산 지원이 끊기기 때문에 1년도 못 버틸 수 있다. 차기 사장이 자신의 임기와 TBS를 모두 지키기 위해선 서울시 예산을 다시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한 새 조례가 서울시의회에서 통과되게끔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차기 사장은 현 여당 성향 또는 오세훈 시장 가까운 인사가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실제로 TBS 임원추천위원회 구성도 여당 쪽에 기울어 있다. ‘눈엣가시’였던 김어준씨가 TBS를 떠난 게 사장 선임과 향후 TBS 운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MBC 사장 선임 절차도 조만간 시작된다. 박성제 현 사장의 임기는 다음 달 23일까지. 박 사장이 공개적으로 연임 의사를 밝힌 적은 없지만, 당연히 연임에 도전할 것이며 별일이 없는 한 연임이 가능할 거라 보는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들어, 특히 지난해 9월 ‘대통령 비속어’ 보도 이후 분위기가 험해졌다. 국민의힘은 박 사장을 향해 “연임이 아니라 수사를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엄포를 놨다. 하지만 당장 여당이 MBC 사장 선임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쉽지 않다. 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은 소위 ‘여당 성향’이 9명 중 3명으로 소수이고, 방문진 이사 임명권을 가진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한상혁 위원장을 비롯해 민주당 쪽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다시 말해 방통위 구도가 바뀌어야 방문진도 여당 위주로 재편하고, 그에 맞춰 MBC 사장을 선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현 방문진 이사회 임기는 2024년 8월10일까지고, 한상혁 위원장 임기는 올해 8월2일까지다. 정권 초기부터 여당 내에서 이어진 사퇴 압박에도 꿋꿋이 버텼던 한상혁 위원장이 임기를 반년여 남겨두고 전격 사퇴를 할까. 한 위원장의 거취와 차기 MBC 사장 선임이 맞물려 관심을 끄는 이유다.
방통위를 주목해야 할 이유는 또 있다. 한전KDN(21.43%)과 한국마사회(9.52%)의 YTN 지분 매각 절차가 올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인데, 이를 최종 승인하는 권한이 방통위에 있기 때문이다. 현행법상 방통위가 매각 과정에 개입할 방법은 없지만, YTN의 새로운 최대주주가 될 사업자의 ‘방송의 공적 책임·공정성 및 공익성의 실현가능성’ 등을 심사해 사후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심사 과정에서 YTN 대주주의 자격을 어떻게 검증하고 고용 및 공정보도 보장 등 종사자들의 의견을 얼마나 반영할지가 관심사다.
리더십 교체를 앞둔 건 방송계만이 아니다. 신문사 중에선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이 2월 중 새 사장을 뽑게 된다. 김석종 현 경향 사장은 연임 도전이 예상되고, 김현대 현 한겨레 사장은 연임 의사가 없음을 이미 밝힌 상황에서 직선제로 치러지는 두 신문사 사장 선거에서 구성원들은 어떤 인물을 새 리더로 선택할지 관심이 쏠린다.
언론 종사자들을 대표하는 두 단체도 올해 선거를 앞두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오는 13일 선거 공고를 시작으로 임원선거에 돌입한다. 20일까지 위원장·수석부위원장 후보 등록을 받고, 다음 달 9일 온라인투표를 거쳐 같은 날 정기대의원회에서 임원 선출을 확정한다. 한국기자협회도 오는 12월 제49대 회장 선거를 치른다. 기자협회장 선거는 협회 회원 가운데 선거권자 전원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문자 투표를 이용해 진행된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