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출근길 문답' 긍정적… 감정 표출, 개선 필요"

윤 대통령 '도어스테핑', 기자들의 2개월 평가

  • 페이스북
  • 트위치

윤석열 대통령이 출근길 기자들과의 문답(도어스테핑)을 시작한 지 두 달이 지났다. 국민과의 소통을 늘리겠다며 용산으로 집무실을 이전한 윤 대통령은 그동안 휴일과 외부 일정이 있을 때를 제외하곤 출근길 문답을 지속해왔다.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진행한 문답만 총 25차례(12일 기준)다. 여러 논란도 뒤따랐지만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은 헌정 사상 첫 시도이자 대통령의 파격적인 소통 행보라는 점에서 대체로 출근길 문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대변인을 통하지 않고 직접 대통령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출근길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시작한 지 두 달이 지났다. 여러 논란도 많았지만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은 헌정 사상 첫 시도이자 대통령의 파격적인 소통 행보라는 점에서 대체로 출근길 문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사진은 12일 윤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특히 기자들은 “춘추관 출입인지, 청와대 출입인지 헷갈렸던” 도식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취재원인 대통령과 직접 맞대면하며 궁금했던 질문을 거리낌 없이 던질 수 있는 취재 환경을 바람직하다고 봤다. 종합편성채널 A 기자는 “청와대에선 대통령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말을 했는지 전혀 알 수 없었다. 항상 비서관이나 수석들의 얘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말의 정확한 맥락을 알 수가 없었다”며 “그래서 저는 도어스테핑을 되게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용산에 대통령실을 이전하는 게 돈도 많이 들고 너무 무리한 거 아닌가, 애초 생각했었는데 소통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봤을 땐 의미가 있다고 느꼈을 정도였다”고 말했다. 박석호 부산일보 기자도 “과거처럼 아예 기자들을 안 만나는 것에 비해선 도어스테핑이 훨씬 도움이 된다”며 “대통령이 직접 설명을 하니 우리가 불필요하게 의중을 분석할 필요가 없다. 논란은 있지만 저는 아주 긍정적이라고 본다”고 했다.

전직 대통령들, 일상 만남 없었고 비서관 등 통한 ‘간접 전달’ 일쑤

다만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은 현재의 출근길 문답에 여러 개선할 지점이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민감한 현안이 나오면 개인적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거나 정제되지 않은 발언으로 정책 혼선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다. 통신사 B 기자는 “본인의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는 건 한 나라의 대통령으로서 부적절하다는 생각이 든다. 정제된 단어로 표현하면 기자든 국민이든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좀 아쉽다”며 “도어스테핑 자체도 너무 짧은 순간에 이뤄지다 보니 심층적인 답변을 듣고 싶어도 대통령이 단답형으로 대답을 하고 넘어가는 케이스가 굉장히 많다. 매일 하는 게 힘들다면 일주일에 한두 번으로 정해놓고 20~30분 심도 있게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룰이 정착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제지 C 기자도 “기자들이 인사 관련한 걸 꼬치꼬치 캐물으니 대통령이 약간 짜증을 내면서 자기 할 말만 하고 갈 때가 있다. 사람이다 보니 비슷한 질문만 반복하다 보면 짜증이 날 것도 같은데, 기자단 내에서라도 질문을 조율했으면 좋겠다”며 “한편으로 대변인실에서도 대통령 발언을 두고 설명을 잘해주거나 오해를 해소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지금은 그게 부족하다 보니 기자들도 불만이 없지 않다”고 했다.

문답 과정서 ‘여과 안 된’ 발언 등 방법적으로 지적받는 부분 나와

여러 논란 때문인지 출근길 문답은 최근 윤 대통령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여권 일각에서도 윤 대통령의 발언에 비판과 우려를 제기하며 문답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 11일 대통령실이 코로나19 재유행을 이유로 ‘도어스테핑’을 잠정 중단한다고 공지했을 때도 위기관리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12일 윤 대통령이 출근길 문답을 하루 만에 재개하면서 이런 해석은 일축된 상황이다. A 기자는 “오늘(12일)같은 경우 미리 조율이 됐던 건 아니고 일부 기자들이 멀리서 대통령을 부른 것”이라며 “대통령이 응하면서 평소보다 더 약식으로 질의응답이 이뤄졌다. 사실상 재개인 애매한 상황인데, 원거리든 근거리든 도어스테핑은 지속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제지 D 기자 역시 “잘 드는 칼이 있는데, 그 칼로 어떤 사람을 찔렀다면 찌른 사람을 욕하지 칼을 욕하진 않지 않느냐”며 “대통령이 발언을 잘못한다고 해서 도어스테핑을 없애면 안 된다. 어떻게 보면 제왕적 대통령제에서 탈피하는 역사적인 과정인데, 이런 문화는 다음 대통령이 누가 되든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