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취재 막는 외교부… "유독 한국만 이렇게 통제"

[언론자유 침해, 현지취재 언론인 분통]
전쟁 취재·보도 시스템 부재 속
전문적 분석한 보도 찾기 어려워
'외신 받아쓰기' 이어지는 악순환

  • 페이스북
  • 트위치

분쟁지역 전문 PD로 유명한 김영미 PD는 지난달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들어가 취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두 가지 이유였다. 한국인이어서, 그리고 ‘프리랜서’ PD여서. 한국 정부는 전쟁 발발 직전인 지난 2월13일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 흑색 경보를 내렸다. 여권법에 따라 극히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누구도 우크라이나에 들어갈 수 없게 됐다. 한 달 뒤인 3월18일부터 ‘공익적 취재’ 목적의 입국이 허가됐으나, 외교부 출입기자단에 한해서였다. 결국, 김영미 PD는 거액을 들여 우크라이나 현지의 저널리스트를 고용해 폴란드의 한 호텔에서 화상 연결로 ‘간접’ 취재를 할 수밖에 없었다. 김영미 PD는 “외교부의 취재 통제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벌어지는 일”이라며 “헌법이 보장한 취재(언론)의 자유에 반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로 열린 ‘우크라이나 전쟁과 언론보도 세미나’에선 우리 언론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보도가 주로 외신, 특히 서방언론에 의존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쟁 두 달이 지났는데 전문적인 분석을 제시하는 보도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는 전쟁 취재·보도 시스템의 부재와 관련 있다. 기존 언론의 취재 공백은 크고, 이를 대체할 전문 인력 활용도 없이 상대적으로 값싸고 간편한 ‘외신 받아쓰기’가 주를 이루는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희생자의 숫자도 늘어만 가고 있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각) 우크라이나 키이우 인근 이르핀의 공동묘지에서 한 남성이 매장용 무덤을 파고 있다. /AP 뉴시스


우크라이나 전쟁뿐 아니다. 2007년 여행금지 및 예외적 여권사용 허가 제도가 시작된 이후 이런 경향이 생겨났다고 KBS 파리 특파원인 유원중 기자는 진단했다. 그해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이라크가 여행금지 국가로 지정됐고, 이후에도 시리아, 예멘(이상 2011년부터), 리비아(2014년부터) 등이 여행금지 국가로 묶였다. 15년 동안 우리 언론은 이곳에서 발생한 내전 등 전쟁 취재 자체를 할 수 없었던 셈이다. 유원중 기자는 “외교부의 예외적 여권사용이 힘들게 돼 있기 때문에 전쟁 취재 경험이 거의 없어졌다”면서 “전문성 있는 기자가 필요하고 현지에서 도와줄 네트워크, 현지 취재기자 확보 등이 필요한데,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경험이 없기 때문에 실력도 없다”고 했다.


“여행금지 제도가 없었던 2003년만 해도 이라크 전쟁을 취재했던 국내 취재진이 거의 100명 가까이 됐다.” 유 기자의 말이다. 그는 “그때 보도가 세련됐냐? 아닐 거다. 하지만 여행금지 제도가 생겨서 이후 전쟁 보도를 아예 할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지 않았다면 전쟁 보도를 잘 하기 위한 언론 보도 시스템이 개선되고 발전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미 PD는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지 못했고, 유원중 기자는 우크라이나까진 들어갔지만 ‘뉴스의 중심’과는 먼 체르니우치에서 그나마도 2박3일만에 나와야 했다. 지난 두 달, 국내 언론에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주요 뉴스로 보도되고 있지만, 사진과 영상은 물론 전쟁을 보는 관점까지 거의 외신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다.


유원중 기자는 “지금 전쟁 보도가 서방언론 받아쓰기 중심으로 되면서 과연 우리나라 국민이 이성적으로 판단할만한 정보들을 한국 언론이 충분히 제공하고 있나, 저를 포함해 반성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김영미 PD도 “전쟁 지역에서 직접 뉴스를 받는 건 기본 원칙인데, 이것이 지켜지지 않는 게 우크라이나 전쟁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PD는 언론에 대해서도 “국제 분쟁 뉴스를 외신에 대부분 의존하면서 아무런 불편을 못 느낀다는 게 제일 문제”라고 꼬집었다.


한국의 경제 규모는 세계 10위 수준으로 성장했다. 게다가 이젠 특정 국가에서 발생한 천재지변, 전쟁, 내란 등이 장바구니 물가 등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가 됐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전쟁을 취재하는 외신 기자들은 ‘한국은 이상할 정도로 관심이 없다’며 의아해한다. 김영미 PD는 “강대국의 지위는 누리고 싶고, 선진국이고는 싶고, 하지만 그쪽에서 나오는 뉴스는 알고 싶지 않고 이런 게 우리 사회에서 기형적으로 작용한다”며 “이게 바로 공무원 보신주의고 국가가 힘으로 언론을 통제하고 검열하는 상당한 이기주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종군 취재 인프라를 위해서라도 취재의 자유를 얻게 해주시고, 국민 알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현장 취재진에 시스템적 도움을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유원중 기자는 “프랑스에서도 기자들이 납치되는 이런 일들이 벌어졌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언론을 규제하지도 않았고 국민도 동의하지 않았다”면서 “헌법적 권리를 찾는 일에 언론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