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형 광고로 최근 포털에서 콘텐츠제휴 자격을 잃은 연합뉴스가 공영언론으로서 책무를 솔선수범해 실천해야 하고 구성원들 역시 국가기간통신사 기자로서 윤리적 품성을 내재화하는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언론학회가 주최하고 연합뉴스가 후원한 지난 9일 ‘디지털 플랫폼 시대 언론의 사회적 책무: 공영언론의 윤리헌장과 보도준칙 개선방향’ 세미나에 두 번째 발제자로 참석한 최영재 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는 연합뉴스가 ‘정부구독료 지원 정당성에 대한 설득, 사회적 인식 제고에 실패했고’ ‘국가기간통신사 지정 후 비효율적 경영, 타성에 젖은 조직, 근성과 창의성 떨어지는 콘텐츠 등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퇴출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연합뉴스에 강도 높은 변화를 요구한 것이다.
최 교수는 뉴스통신진흥법 제정 후 “국가기간통신사의 지위와 함께 공적 책무의무도 부여”됐지만 이에 대한 “내부 구성원의 인식이 내재화되지 못한 측면이 강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른 “외부의 책무성 요구와 연합 내부의 인식간의 차이가 연합뉴스의 정체성 위기도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BBC 칙허장 수준의 공적목표 제시·이행 및 투명한 공개’, ‘사영 뉴스통신사를 포함한 타 매체와의 경쟁 유도 통한 조직 변화’ 등을 제안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연합뉴스의 공적책무 이행에 대한 그간 평가와 더불어 국가기간통신사로서 구성원의 인식과 태도 변화를 당부하는 제언을 아끼지 않았다. 권태호 한겨레 저널리즘책무실장은 “연합의 후배 기자들은 타사 기자들보다 긴장감이 있는데 간부가 되면 회사 수익이나 경영과 관련해 타사에 비해 긴장감이 떨어지는, ‘살찐 고양이’ 느낌일 때가 있다”면서 “회사가 망하거나 급격하게 어려워지는 일이 없어서 그런가 싶은데 대중의 신뢰에 대해 긴장감을 가졌으면 한다”고 했다. 첫 번째 발제를 진행한 박영흠 협성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도 “연합뉴스 기자들을 만나보면 개개인 별론 우수하고 뛰어나지만 국가기간통신사로서 책무에 대한 인식은 외부와 괴리된 경우가 있더라”면서 “외부에서 강조하는 공적 역할들을 하지 않아도 이건(정부구독료) 당연히 받아야 되는 돈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지양해야 하는 부분들로 본다”고 했다.
콘텐츠제휴 자격을 잃은 후 포털과 뉴스제휴평가위에 수십 건의 비판보도를 낸 연합뉴스의 대응 등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홍주현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그동안 포털에서 연합뉴스가 누린 지위가 있었다. 제평위가 존재한지 6년이 됐는데 연합이 이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비판을 했나. 몇 년 전 기사를 보면 제평위 기준이나 사이비 언론 퇴출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한 적도 있는데 왜 지금 문제제기가 이뤄졌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장이 바뀌고 (광고기사를 쓴) 부서를 날리는 일련의 과정을 봤지만 똑같은 사람, 조직문화에서 바뀔까 의문이 드는 독자가 많을 텐데 선언만 하지 말고 보여줘야 할 것”이라 덧붙였다. 권태호 실장도 “150억원의 매출 손실은 개별 매체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고 부당하단 얘기, 항의는 할 수 있지만 일반 소비자들이 알아야만 했을까. 연합뉴스가 자사 매체를 통해 제평위 결정을 비판하는 기사를 폭포수처럼 내보낸 건 사유화 아닌가”라고 했다.
이날 성기홍 연합뉴스 사장은 축사에서 2000년대 이후 연합뉴스가 “공적 가치를 입증하고 벼려내는 노력보다 포털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쪽으로 힘을 더 많이 실었고, 그 방향으로 조직의 관성이 작동되지 않았나 자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적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콘텐츠책무실 신설 소식 등도 전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