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평위 출범 어느덧 6년 차… 선정적 기사 '변칙 출고'는 여전

[저널리즘 타임머신] (84) 기자협회보 2015년 10월 21일자

  • 페이스북
  • 트위치

2015년 10월15일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공식 출범했다. 제평위는 네이버, 다음카카오 포털 내 언론사 입점과 퇴출, 제재 심사를 담당하며 현재 6기가 활동 중이다. 2015년 당시 기자협회보는 <뉴스제휴평가위 중앙일간지 어뷰징 손댈까> 기사에서 “기사 어뷰징 문제 등을 제대로 손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제평위의 과제, 실질적 역할에 대한 우려 등을 보도했다.


클릭 수를 위해 동일한 내용의 기사를 중복 전송해 저질 기사를 양산하는 ‘기사 어뷰징 문제’는 제평위가 만들어진 가장 큰 원인이었다. 기자협회보는 “기사 어뷰징의 경우 언론계 안팎에서도 온라인 생태계를 갉아먹는 암적 존재라고 여기고 있지만 수익과 연결되다보니 언론계 자정 노력에만 기대하기 힘든 지경까지 다다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제평위를 가동한다고 해서 어뷰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제평위가 뉴스제휴 신규 계약과 계약 갱신 요구에 시달렸던 포털의 골칫거리만 해결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제평위가 기사 어뷰징 등 민감한 사안은 건들이지 못하고 신규 매체에 대한 포털 진입장벽만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제평위가 기사 어뷰징이나 뉴스 콘텐츠 제휴 업무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공평한 잣대를 들이댈 수 있을 지도 관건으로 꼽혔다.


당시 기사에서 한 신문사 온라인 담당자는 “기사 어뷰징이나 검색어 기사를 가장 많이 쓰는 언론사가 중앙일간지인데 이를 어떻게 개선시킬지 여부가 제평위의 최대 당면과제”라며 “자칫 외부로부터 자기 밥그릇만 지키기에 급급하다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기사 어뷰징 문제를 푸는 해법을 놓고 언론과 포털 간 시각차를 보이기도 했다. 언론계는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가 사라지면 어뷰징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본 반면 포털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입장이었다.


제평위 출범을 두고 5년 전 나왔던 우려는 일부 현실이 됐다. 지난해 제평위가 언론사의 어뷰징에 큰 벌점을 부과하는 ‘네이버·카카오 뉴스 제휴 및 제재 심사 규정’을 발표하고, 네이버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도 사라지며 ‘실검’용 기사는 사라진 듯 했다. 하지만 여전히 콘텐츠 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자극적인 보도와 트래픽용 기사는 방식만 바꾼 채 계속되고 있다. 심사 공정성과 제재 기준을 두고 논란이 되면서 제평위의 ‘대형 언론사 봐주기’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현재의 상황이다.

박지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