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디지털 뉴스 유료화' 도전장 내밀었던 신문사들

[저널리즘 타임머신] (81) 기자협회보 2013년 10월 9일자

  • 페이스북
  • 트위치

디지털 뉴스 유료화는 국내 신문업계의 지상 과제다. 종이신문 구독률은 가파른 내리막을 걷다 지난해 6.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 지금으로선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신문사 매출의 주축인 지면광고 수입은 몇 년 뒤를 예측할 수 없는 데다 디지털 광고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도 아직 멀었다. 신문사들은 생존하기 위해 디지털 뉴스 유료화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2011년 뉴욕타임스가 디지털 뉴스 유료화 정책을 도입한 이후 국내에서도 유료화 시도가 이어졌다. 기자협회보 2013년 10월9일자 보도에 따르면 그해 매일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 조선일보, 내일신문 등이 유료화 대열에 들어섰다.


‘뉴스는 공짜’라는 인식을 지우려면 콘텐츠부터 강화해야 했다. 2013년 조선일보는 유료화를 추진하면서 그간의 연재물, 기획물과 함께 유명 인사와 자사 기자들이 참여하는 칼럼 코너를 마련했다. 그해 창간 20주년을 맞아 유료화를 선언한 내일신문은 디지털 기사 전면 유료화를 시행했고 네이버에 뉴스 공급도 중단했다.


매일경제신문은 온라인 유료 서비스 ‘매경e신문’을 선보였고 한국경제신문도 종이신문의 초판 가판 발행을 대신한 ‘한경+’를 유료로 내놨다. 기자들의 취재 뒷이야기와 전문가 칼럼 등 구독자들이 돈을 내고 볼 만한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방침이었다.


8년이 흐른 현재, 이들의 시도는 ‘경험’으로만 기록됐다. 당시 분위기도 유료화에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경제신문 유료화 서비스 담당자는 “우리나라 온라인 문화나 소비 습관을 보면 당장 독자들이 폭발적으로 늘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고, 기자협회보도 “신문의 위기를 돌파할 유일한 해법이 유료화라면서도 수년간의 시행착오는 피하지 못할 것”이라는 업계의 반응을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유료화 도입 10년째인 올해 디지털 유료 구독자 700만명을 확보했다. 2025년까지 1000만명 달성이 목표다. 이미 디지털 구독·광고 수입이 종이신문을 넘어섰다. 이 사례를 국내 신문사에 그대로 적용하긴 어렵지만, 가장 성공적인 모델을 뒤좇지 않을 수 없다. 유료화 문턱에서 머뭇거리기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