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개최될 도쿄패럴림픽… 지상파, 아직 중계계획도 미확정

  • 페이스북
  • 트위치
사진=뉴시스

지상파 방송사들이 오는 24일 개최되는 도쿄패럴림픽 중계계획을 현재까지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KBS를 제외하면 기존 패럴림픽과 비교해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다. 해외 유수 방송사에서 올림픽 개막 전부터 중계계획·방침을 밝히고 온·오프라인을 아울러 전폭적인 대응에 나선 행보와 대비된다.


17일 현재 KBS와 MBC, SBS는 오는 24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개최되는 도쿄 패럴림픽 중계계획 등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이들 모두 촉박한 시일을 감안해 이번 주 내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현재로서 MBC는 개회식만 생중계할 소지가 크다. SBS는 개·폐회식 모두 생중계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3사 확인결과 각각의 패럴림픽 편성시간 역시 한국이 개최국이던 2018 평창 패럴림픽보다는 적고, 2016 리우패럴림픽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많은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8년 평창패럴림픽 당시 KBS는 44시간, MBC는 35시간, SBS는 31시간 등 총 110시간(TV 채널 편성 기준)을 할애한 바 있다. 당초 KBS는 25시간, MBC는 18시간을 계획했지만 공영방송사가 패럴림픽 중계에 소극적이란 여론이 커지며 이마저도 두 배 가까이 편성이 늘어난 결과였다. 앞서 KBS는 2016 리우패럴림픽 당시 약 16시간(990분)을 할애했는데, 올림픽 방송엔 16일(2만3145분)을 편성하기도 했다. 개회식을 제외하면 모두 녹화중계였고, 그중 86%는 새벽에 집중되며 지적이 잇따랐다.


지상파 전반의 미온적인 태도는 편성확대, 장애인 해설진·리포터 도입 등 양과 질 모두에서 패럴림픽 중계에 적극 대응 중인 해외 방송사의 행보와 대조된다. 영국 지상파 채널4는 지난달 5일 도쿄 현지, 영국 리즈, 런던 스튜디오에서 300시간 이상 방송을 제공하고, 온라인 전용 페이지에선 16개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1000시간 이상을 쓰는 등 온·오프라인을 아울러 “가장 야심찬 패럴림픽 계획”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해설자(presenter) 중 70% 이상을 장애인에 할당하겠다고도 했다. 미국 지상파 NBC 역시 지난 8일 1200시간에 달하는 패럴림픽 방송계획을 밝힌 바 있다. NBC, NBCSN 등 채널로 200시간 TV중계를 진행하고, 스트리밍 서비스 피콕(Peackcock), 올림픽 전용 페이지, NBC 스포츠 앱 등 플랫폼으로 1000시간 동안 방송을 전할 예정이다. 일부 TV 프로그램에선 자막과 오디오 설명 서비스도 제공키로 했다.


개최국 일본의 공영방송 NHK의 경우 접근성 향상을 위한 온라인 부문 시도가 눈에 띈다. 특집 사이트를 통한 휠체어 농구·럭비 중계 시 하루 한 경기 꼴로 컴퓨터그래픽(CG) 캐릭터가 실시간 수화 해설을 하고, 타 종목 온라인 스트리밍 중계 시에도 실시간 자막과 음성 해설을 지원한다. 장애인 리포터 3인이 선수와 경기 스토리를 전하게 했고, 패럴림픽 관련 질문에 답하는 AI 챗봇도 운영된다.


현재 국내 지상파 중에선 개·폐회식 생중계를 포함 패럴림픽에 대한 분명한 확대 대응 기조를 밝히고 있는 KBS의 행보가 주목된다. 정재용 KBS 스포츠국장은 “과거보다 확대, 강화하겠다는 기조는 분명하다. ‘방송은 시청자가 바꾼다’는 걸 뼈저리게 느낀 올림픽이었고, 공영성 측면에서 고민이 컸던 저희로선 기회이기도 하다”면서 “프라임타임이지만 개·폐회식 생중계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고, 메인뉴스와 스포츠뉴스 등 뉴스파트에서 기존보다 더 충실히 패럴림픽을 다루기 위해 논의 중”이라고 했다. 이어 “경기 라이브 중계 확대는 스튜디오 추가 확보 등 현실적인 고민이 많다. 양을 늘리는 것뿐 아니라 온라인상 장애인 분들을 위한 자막, 검증된 해설자 섭외 등 공영방송에 걸맞은 퀄리티와 감수성 확보가 필요한데 어디까지 가능할지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