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가 사모펀드운용사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키스톤PE)에 인수될 수순을 밟고 있다. 매각설이 돌며 혼란스러워하던 구성원들은 최대주주 변경 등 급작스런 지배구조 변화 국면에 사내 직능단체들이 함께 확대논의체를 발족하고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사측, 공시 답변서 “키스톤 PF, 신주인수권 행사땐 최대주주로 변경 가능”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키스톤PE는 이날 아시아경제 최대주주 KMH 관계사 레저플러스가 보유한 아시아경제 BW(신주인수권부사채권)를 매입했다. 아시아경제 주식 약 651만주로 전환 가능한 이 BW는 기존 발행주식 총수 대비 14.78%에 해당한다. 19일 아시아경제 보통주 18%를 인수한 키스톤PE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면 KMH 지분율(27.35%)을 넘겨 아시아경제 최대 주주에 오르게 된다. 앞서 키스톤PE는 KMH와 협의, 투자사업 역량 제고를 위한 전문경영체제 확립의 일환에서 KMH로부터 아시아경제 보통주 18% 등을 인수했다.
아시아경제는 이날 전자공시에 알린 ‘최대주주 지분 및 경영권 매각 추진설’ 관련 답변에서 “KMH 소유의 당사 주식 27.3%는 현재 매각 계획이 없어 이로 인한 최대 주주 변경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일 KMH의 당사에 대한 지분공시 등을 통해 KMH의 특별관계자가 소유한 당사 제3회 BW권면70억원을 키스톤에 매각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신주인수권 행사를 제한하거나 행사주식을 포함한 당사 의결권을 제한하는 별도약정은 없어 키스톤PE가 BW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경우 당사의 경영권을 행사하는 최대주주는 키스톤PE로 변경될 수 있다”고 했다. 언제고 아시아경제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는 상황이란 의미다.
이 같은 변화에 전국언론노동조합 아시아경제지부는 사우회, 공정보도위원회, 기자협회 지회, 여기자협회, 우리사주조합 등 사내 모든 단체와 확대논의체를 구성, 지배구조 변화에 대응키로 한 상태다. 노조는 지난 14일 사내 공지에서 “그룹 전체의 지배구조 변화가 본격화하고 있다. KMH의 자사주 매입 완료는 중대한 변화의 상징적 변곡점이라는 판단”이라며 “확대논의체는 아시아경제가 ‘신뢰 받는 언론, 더 나은 일터’로 성장하기를 소망하는 조합원과 직원들을 위해 존재한다. 임박한 지배구조 변화에 이어 불측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조합원과 직원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운영 방향과 대응 강도는 지배주주들의 행보에 따라 달라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서 사모펀드가 언론사 최대주주 된 적은 없어… 구성원들 당혹·혼란
실제 아시아경제 기자 등 구성원들의 당혹감과 혼란스러움은 작지 않다. 앞서 키스톤PE가 2대 주주가 되며 매각설 등이 돌았지만 사측의 설명은 부족했고, 19~20일 갑자기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는 소식도 듣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법정관리에 돌입하고 대주주가 바뀌었다가 상장사가 되는 등 부침을 겪은 터 또 다시 혼돈이 반복될까 경계심도 작지 않다. 특히 수익을 최우선에 두는 사모펀드운용사의 언론사 경영권 확보는 ‘편집권 독립 훼손’을 넘어 자칫 ‘매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우려스럽다. 국내에서 그간 사모펀드가 언론사 최대주주가 된 적은 없었다.
김효진 언론노조 아시아경제지부장은 “지배구조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고 내부 목소리와 무관하게 여러 전망과 추측이 다양하게 나오는 상황을 예사롭지 않게 보고 있다”면서 “상장사지만 우린 언론기업이고 그 가치와 정체성을 흔들림 없이 유지하고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려 한다. 키스톤과 주주들 움직임을 면밀히 보고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