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1980년 5월17일 '한 남자'를 찾습니다"

한겨레 지면 생활광고 이례적 주목
KBS 등 후속보도, SNS선 "감동적"

  • 페이스북
  • 트위치

한겨레신문에 실린 ‘사람 찾는’ 생활 광고가 최근 큰 화제가 됐다. 신문 광고가 이례적으로 주목 받은 일은 ‘레트로’란 트렌드의 연장선에 놓이지만 한편으론 국내 진보언론이 기반한 핵심 독자층의 고령화, 대의가 사라진 시대를 맞은 언론 전반의 고민으로서 시사점을 남긴다.

 


한겨레신문은 5·18광주민주화운동 41주년 쯤인 지난 17·18일 지면 8면 하단 생활광고면에 “한 남자의 안부를 묻고 찾습니다”란 제목의 광고<사진>를 실었다. 1980년 5월16~17일 이화여대에서 열린 전국대학 총학생회장단 회의에 참석한 광고주는 난입한 공수부대 체포를 피해 교정 내 한 건물 지하보일러실에 숨었다. “이름도 출신학교도 학번도 심지어 얼굴도 기억하지” 못하는 이와 대여섯 시간을 함께 숨었던 광고주는 “그날로부터 41년째인 오늘 나는 60대 중반 중노인”이 되어 “18일 0시 직전 천운으로 탈출한 경험을 공유한” 그를 찾고 싶다고 했다.


광고 이후인 지난 20일 KBS에선 후속보도 <신문광고로 41년 만에 연락 닿은 두 사람...그때 무슨 일이?>가 나왔다. 보도는 사연, 역사적 상황과 사건을 교차해 전하면서 “광고주가 누군지 수소문하다가 광고주의 지인이라는 분들과 각각 취재가 됐다. 광고주의 지인들은 광고주가 60대 남자이며 지난 18일 늦은 밤 한 남자에게서 이메일을 받고서 지난 19일 직접 통화해 찾으려고 했던 사람이 맞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고 적었다. 다만 광고주가 취재에 응할 수 없다고 하면서 찾은 이유, 만남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직접 연락이 가능했던 한겨레 역시 광고주 요청에 따라 기사화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사진으로 찍힌 해당 지면이 “가슴 뭉클하다” “감동적이다”란 메시지와 함께 SNS에서 다수 공유되는 등 해당 광고는 이례적으로 큰 화제가 됐다. ‘신문 지면’에 담긴 ‘사람 찾는 광고’는 요즘 트렌드인 ‘레트로 콘텐츠’로서 특정 세대엔 반가움으로, 이하 세대엔 신선함으로 여겨졌을 여지가 크다. 매끈하게 다듬어지지 않은 서술 역시 감동적인 사연에 진정성을 더하는 요소가 됐을 것이다.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는 “신문을 통해 광고를 본 사람들에게서만 회자됐을까. 밈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오프라인이 온라인에서 어떻게 바이럴 될 수 있는지 고전적인 온·오프라인 간 연결 구조의 정석처럼 보였다”고 했다.


광고는 국내 진보언론의 핵심 독자층이 누구인질 재차 부각한 측면도 지닌다. 다만 민주화항쟁 주축이던 소위 ‘586세대’는 고령화되고, 이는 ‘독재정권 타도’ 등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세대가 사라진 시대 진보언론이 마주할 미래를 예고한다. 대의가 사라진 시기 진보·보수·중도 등 ‘정론지’가 가능할지도 의문으로 남는다. 김위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한겨레란 매체로 사람을 찾는다는 건 ‘젊었을 때 살아온 경험이 그렇다면, 진보적인 사람이라면 한겨레신문은 볼 것’이란 자기 확신이자 공유된 정서가 있었다는 것”이라면서 “역사성과 집단성을 투영한 언론이 가능한 시기는 지금이 거의 마지막 아닐까”라고 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