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가 최근 지역을 9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마다 1개 언론사씩 포털 입점을 보장하는 ‘지역매체 특별심사 규정’을 의결했다. 인천·경기, 강원, 세종·충북, 대전·충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전북, 광주·전남, 제주 등 9개 권역별로 심사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지역언론 1개사에 네이버·카카오 콘텐츠제휴사(CP) 지위를 부여하는 내용이다. 세부 심사 일정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올해 하반기쯤 지역언론 9개사는 포털에 기사를 제공하고 광고료를 받는 콘텐츠 제휴계약을 맺을 것으로 보인다. 포털이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된 여론지형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이번 지역신문에 대한 입점 확대는 긍정적으로 평가할만하다. 뉴스 이용이 집중된 포털에서 중앙 매체와 지역 매체의 불균형 해소 목소리가 컸고, 이런 지역언론 홀대 비판을 포털이 받아들인 결과로 보인다.
그동안 포털에서 지역뉴스는 철저히 배제됐다. 우리나라 국민 75.8%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이용하고 있는데도 그렇다. 2019년 8월에 나온 한국언론진흥재단 보고서 ‘포털 등의 알고리즘 배열 전환 이후 모바일 뉴스 행태’를 보면 그 일면을 짐작할 수 있다. 20대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네이버 모바일에서 지역언론의 기사를 본 적이 있는지 물었더니 ‘본 적 없다’는 응답이 42.2%로 나타났다. ‘본 적 있다’는 응답은 26.1%에 불과했다. 이용자들이 지역언론의 기사를 자주 접하지 못하는 것은 지역언론 대다수가 검색제휴 형식으로 포털에 입점해 있기 때문이다. 포털 검색창에 특정이슈를 입력하지 않는 한 지역언론의 뉴스를 찾아볼 수 없는 구조다. 현재 네이버 모바일에 뉴스를 공급하는 지역언론사는 강원일보·매일신문·부산일보 3개사에 불과하다.
2015년 제평위 출범 이후 CP 입점 심사를 통과한 매체는 8곳이었다. 그만큼 신규 진입은 까다로웠고, 심사 때마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지역매체 특별심사를 두고 일각에서 지역언론에 대한 특혜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제평위는 3개월마다 모니터링을 하고, 입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오면 바로 퇴출하고 1년간 제휴 신청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자체기사 생산 비율(30%) 중 80% 이상이 해당 지역 기사여야 한다’는 조건을 이행하지 못하면 포털에 CP 계약 해지를 권고하기로 했다. 이처럼 제재 장치를 강화했지만 이번 특별심사를 두고 인구 규모나 지역언론의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권역별 할당 방식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지역언론 심사는 기존 제휴사 심사와 달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 만큼 제평위는 여론을 수렴해 심사 기준과 항목을 세밀하게 정하고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지역언론의 분발도 필요하다. 지역 저널리즘은 지역 현안을 심층적으로 파고들고, 지역민의 목소리가 돼 줘야 한다. 지역을 강조하는 지역언론이 수도권 뉴스와 어뷰징성 기사를 쏟아내는 모순된 현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특별심사 취지에 맞게 지역언론의 좋은 콘텐츠가 더 많은 독자와 만나기를 기대한다.
포털은 일회성 특별심사로 지역언론 차별 여론을 무마했다고 착각해선 안 된다. 전국언론노조가 성명에서 밝혔지만 지역언론과 포털의 CP 제휴 근본 목적은 지역 저널리즘에 대한 지원이지 시혜가 아니다. 포털 중심의 뉴스유통 환경에서 지역의 다양한 목소리가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건 극명한 사실이다. 포털은 지역언론에 대한 입점을 지금보다 확대하고, 혁신적인 지역언론 지원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